나이든 부모와는 왜 사사건건 부딪힐까를 읽고서
본 내용은
"
A+나이든 부모와는 왜 사사건건 부딪힐까를 읽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9
문서 내 토픽
  • 1. 홀로서기가 불가능한 부모
    나이가 들면 다들 그럴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평생 내게 의지해 혼자 양말 한 켤레를 사 신지 못하던 우리 어머니가 생각났다. 어디든 볼일이 있으면 불러내 병원 문턱을 한 번도 넘은 적이 없을지 모르지만 나이를 따져보면 지금도 내 나이는 어린아이처럼, 할머니처럼 알면서도 모른 척하며 의지하고 있다.
  • 2. 흑백의 세계에 있는 부모
    자신의 본질을 스스로 바꾸기도 어렵다. 그러나 완고하고 극단적이며 단호하고 강경한 태도를 취하는 부모라면 가족과 주변 사람들은 모두 고생할 것이다. 하지만 엄마가 "괜찮다"며 낙담하고 끝까지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아 불만이 많았는데 그마저도 감사해야 할 수도 있다.
  • 3. 나쁜 면만 보는 부모
    모든 것들을 부정적으로 보고 불평만 하는 사람들이 싫다. 왜 그리 꼬였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부모님이라면 자녀는 가정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행복하고 기쁜 일이 있고 흥분해서 부정적인 말을 먼저 하면 본인은 그것이 행복을 짓밟는 행위임을 모를 수도 있고, 이런 부모는 행복이 무엇인지 전혀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 4. 자기밖에 모르는 부모
    극단적인 형태의 개인주의적 성향을 다뤘지만 너무 비열하고 파렴치한 가족이나 타인에게 감정이 없거나 인간미가 없다. 너무 사려 깊게 생각하듯이 남을 평가하는 것은 아이도 존경할 수 없는 어른이 아닐까 이것들은 어렸을때부터 익숙한 모습이다.
  • 5. 만사를 자기 뜻대로만 하는 부모
    지금은 90을 훌쩍 넘기신 나의 아버지가 거의 주변 상황을 인지를 못하고 계시지만 80대때 치매증상이 지금보다 조금 나았을 당시만 해도 50대 후반의 아들한테조차도 자기 뜻대로 통제하려 하셨다. 여기 나타난 부모의 유형, 그리고 우리 아버지는 자녀가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삶을 빼앗는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질렀다.
  • 6. 자기학대를 하는 부모
    자기 학대를 하는 사람만큼 타인을 존중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부모는 어른이 되어서도 든든한 후원자다.하지만 나이든 부모는 점점 늙어가고 누군가의 보호와 도움을 받아야 하며 언제든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존재임은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다.
  • 7. 두려움에 떠는 부모
    부모님은 항상 나에게 버팀목이라고 믿었지만 점차 제가 지켜야 할 취약한 사람으로서 취약한 보호자가 되었다. 굉장히 친한 존재이기 때문에 이런 모습이 무섭지만 혼란스럽고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우리 부모님 모습이라 공감이 간다.
  • 8. 상실, 비탄, 그리고 애도
    내가 20대 때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엄마를 잃은 엄마의 마음은 형언할 수 없지만 그때는 엄마의 마음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최근 가끔 엄마 친구들의 사망 소식을 들었을 때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보다 상실감이 크다는 상실감을 엄마에게서 느낄 수 있었다.
  • 9. 당신 자신이 까다로운 부모가 되지 않으려면
    비록 연약하기 짝이 없는 모습이지만 아직 버팀목처럼 나의 부모가 내 곁에 계시고 부모라는 거울을 바라볼 수 있어 나의 보습을 비춰볼 수 있어서 1장부터 8장까지의 부모의 모습을 들여다보면서 조금이나마 반성하고 되돌아 보면서 적어도 자식을 힘들게 하지 않는 부모가 되지 말아야 되겠다는 마음을 가져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홀로서기가 불가능한 부모
    부모가 홀로서기가 불가능한 경우는 매우 안타깝습니다. 이런 부모는 자녀에게 의지하게 되고, 자녀의 독립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녀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부모가 홀로서기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부모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와 자녀 모두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흑백의 세계에 있는 부모
    흑백의 세계에 있는 부모는 매우 편협한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부모는 상황을 극단적으로 해석하고,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는 자녀에게 큰 스트레스와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가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와 자녀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와 자녀 간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나쁜 면만 보는 부모
    나쁜 면만 보는 부모는 자녀의 장점과 긍정적인 면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런 부모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녀의 장점과 잠재력을 인정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부모와 자녀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자기밖에 모르는 부모
    자기밖에 모르는 부모는 자녀의 필요와 요구사항을 무시하고 자신의 욕구만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런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자녀와의 소통과 공감을 통해 서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만사를 자기 뜻대로만 하는 부모
    만사를 자기 뜻대로만 하는 부모는 자녀의 의견과 선택을 존중하지 않습니다. 이런 부모는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억압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자녀와 함께 의사결정을 하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자녀가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6. 자기학대를 하는 부모
    자기학대를 하는 부모는 자신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돌보지 않습니다. 이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신의 건강과 안녕을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기학대 행동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녀와의 관계도 개선될 수 있을 것입니다.
  • 7. 두려움에 떠는 부모
    두려움에 떠는 부모는 자녀에게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신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녀에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두려움을 해결하고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8. 상실, 비탄, 그리고 애도
    상실, 비탄, 그리고 애도는 부모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와 자녀 모두가 상실과 비탄을 극복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9. 당신 자신이 까다로운 부모가 되지 않으려면
    부모가 까다로운 경우,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반성하고 개선해나가야 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관계를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 자신이 까다로운 부모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