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학교 야생동물관리학 '야생동물조사' 과제(23년 4학년 1학기)
본 내용은
"
경상대학교 야생동물관리학 '야생동물조사' 과제(23년 4학년 1학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8
문서 내 토픽
  • 1. 고라니
    고라니는 털이 나는 둥근 귀, 빛나고 아름다운 검은 눈, 검고 촉촉해보이는 코, 잘 빠진 몸매에 가늘고 날씬한 다리, 작지만 우아한 생김새를 지니고 있다. 털이 거칠고 굵으며 구불구불하며 전체적으로 황갈색 또는 밤갈색이다. 속 털이 없는 대신 여름털과 겨울털이 다르게 난다. 송곳니가 삐죽하게 솟아 있으며 노루와 매우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다. 고라니의 서식밀도는 100㏊당 7.8마리이며, 충청남도가 가장 높고 전라남도가 가장 낮다. 고라니는 산악지대와 구릉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전세계적으로 한반도와 중국 동북부 양쯔강 주변 산림지대에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서식밀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수렵종으로 지정되어 개체수를 관리하고 있다.
  • 2. 서식지 환경
    고라니는 산 중턱 이하 산기슭이나 강기슭, 계곡, 풀숲, 평지의 버들밭, 억새가 우거진 황무지, 그리고 산기슭에 가까운 논에서 주로 서식하며 해발 600m이하에서 주로 관찰된다. 봄에는 경작지 인근의 풀숲, 여름에는 강기슭이나 계곡 주변의 초지, 가을에는 야산의 풀숲과 논과 밭 속, 겨울에는 양지바른 논둑, 밭둑 등 민가 지역까지 내려온다.
  • 3. 유해 조수 구제
    지방자치단체나 보통 시,군당 연간 300~500마리 정도의 고라니를 통제한다. 거의 대부분 총기를 이용하여 동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포획 시기, 포획 도구, 포획 지역 및 포획 수량이 적정해야 하고 생명의 존엄성을 해하지 않도록 생포용 덫을 사용해야 한다. 철책의 밑을 파고드는 습성이 있고 모피층이 두꺼워 전기철책의 전기 충격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방수책 사용이 권장된다.
  • 4. 로드킬 저감
    대부분의 로드킬은 도로 건설에 의한 서식지 단절로 인해 발생하며, 로드킬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서식지와 서식지간에 안전하게 이동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생태통로 및 펜스, 유도 울타리 등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장기간 기초자료를 수집한 후 로드킬 발생빈도가 높은 지점을 선정하여 생태학적 정밀조사를 수행하고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고라니
    고라니는 한국의 대표적인 야생동물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산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고라니 개체수가 급증하면서 농작물 피해, 교통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라니 개체수 관리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고라니를 구제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의 건강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고라니와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입니다.
  • 2. 서식지 환경
    야생동물의 서식지 환경 보호는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이는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는 적절한 서식지 환경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정책과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야생동물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 3. 유해 조수 구제
    유해 조수 구제는 매우 민감한 주제입니다. 농작물 피해나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일부 야생동물에 대해서는 구제 조치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동물 복지와 생태계 보전의 가치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유해 동물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 해결과 함께 동물 친화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농작물 보호 시설 설치, 먹이원 관리 등 예방적 대책을 강화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도 동물 윤리와 생태계 보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유해 조수 구제 정책은 인간과 동물의 이해관계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합니다.
  • 4. 로드킬 저감
    로드킬은 야생동물 보호와 교통안전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도로 건설과 차량 증가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이동 경로가 차단되면서 로드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야생동물 개체수 감소와 생태계 교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도 위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로드킬 저감을 위해서는 야생동물 이동 통로 확보, 도로 설계 개선, 운전자 교육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자체와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로드킬 모니터링과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야생동물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안전한 도로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