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A+] 폐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CASE / 교수 피드백 O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A+] 폐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CASE / 교수 피드백 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3
문서 내 토픽
  • 1. 폐색전증
    폐색전증은 혈전이 폐로 피가 흐르는 혈관을 막을 때 발생한다. 폐색전증을 일으키는 혈전 대부분은 다리에 있는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다. 이 외에도 골반이나 복부 정맥에서 만들어진 혈전 일부가 떨어져 나와 폐색전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드물긴 하지만 부러진 뼈에서 흘러나온 골수, 떨어져 나온 종양 일부, 공기 버블에 의해서도 폐동맥이 막힐 수 있다. 폐색전증의 위험요인으로는 장기간 비행기, 자동차 등을 타고 여행하면서 몸을 움직이지 않을 경우,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경험, 과체중 또는 비만, 수술, 임신, 피임약 복용, 암 등이 있다. 폐색전증의 병태생리는 폐동맥의 광범위한 폐색으로 인해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우심실 부전이 발생하는 것이다. 발생빈도는 전체 입원 환자의 약 1%, 수술 후 사망의 3% 정도를 차지한다.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객혈, 심한 곤란 상태 시 저혈압, 심정지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폐혈관 조영술, 심전도, 동맥혈 가스 분석, D-dimer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폐환기관류스캔, 컴퓨터 단층촬영, 심 초음파 등을 시행한다. 치료로는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혈전 제거, 대정맥 필터 등이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폐색전증
    폐색전증은 혈전이 폐동맥을 막는 심각한 의학적 응급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폐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호흡 곤란, 흉통,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데, 항응고제 투여, 혈전용해제 투여, 혈전 제거술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폐색전증은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므로, 위험 요인 관리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장기 침상 안정, 수술 후, 암 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증상 발현 시 신속한 대응이 생명을 구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폐색전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처 방법을 숙지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