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에서 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행동의 주요현상
본 내용은
"
[대인관계의 심리학 A+] 대인관계에서 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행동의 주요현상에는 동조, 순종, 복종 등이 있습니다. 각 현상을 비교분석하고 각 현상에 해당하는 사례를 개인적 영역 또는 사회적 영역(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최근 사례)을 들어 설명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5
문서 내 토픽
  • 1. 동조
    동조는 집단과 같은 사회의 압력에 의해 개개인이 해당 집단이 기대하거나 원하는 형태 혹은 방식 등으로 생각이나 행동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솔로몬 애쉬의 '선분 실험'에서 진짜 피험자 1명이 혼자 있을 시 문제에 대한 정답률은 99%였으나, 집단 내에서는 정답률이 63%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명백한 답이 있음에도 집단 내 다수의 오답 선택이 개인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 2. 순종
    순종은 자의가 아니더라도 타인의 요구에 맞도록 이를 따르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로 홈쇼핑 광고에서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해 결제하도록 하는 것이 그것이며, '비위 맞추기', '문간에 발들여놓기(한발 적시기)', '문전박대기법' 등이 있습니다.
  • 3. 복종
    복종은 순종의 한 형태로 자신의 주관적 의견과는 무관하게 타인의 명령이나 의사를 그대로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실험으로 밀그램(Stanley Milgram)이 1963년에 진행했던 복종 실험이 있는데, 피험자 대다수는 매우 위험한 수준까지 전기충격을 가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동조
    동조는 개인이 집단이나 사회의 규범, 가치관, 행동 등을 받아들이고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조는 때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때로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개인은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지키면서도 타인과 조화를 이루는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동조는 사회적 응집력을 높이고 집단 내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지만, 개인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조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되어야 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순종
    순종은 상위 권력이나 권위에 대한 복종을 의미합니다. 순종은 때로는 필요할 수 있지만, 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순종은 사회 질서 유지와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지만,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종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되어야 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순종은 때로는 권위주의적 통제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 3. 복종
    복종은 상위 권력이나 권위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을 의미합니다. 복종은 때로는 필요할 수 있지만, 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습니다. 복종은 사회 질서 유지와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지만,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종은 상황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복종은 권위주의적 통제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