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경구약,외용약,좌약,투약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경구약,외용약,좌약,투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3
문서 내 토픽
-
1. 경구투약경구투약의 목적은 약물을 소화관으로부터 흡수시켜 혈행을 통해 작용시키거나 소화관 자체 또는 소화관 내용물에 작용시키기 위함이다. 준비물품으로는 투약카드, 약품, 투약 Cart 또는 트레이, 물컵, 약포지 또는 약컵 등이 필요하며, 투약 전 5Rights(정확한 약, 용량, 투여경로, 시간, 환자) 확인, 약물 오염 방지, 환자 확인, 투약 목적 및 방법 설명, 연하 및 흡인 방지 등의 절차를 거친다.
-
2. 외용약 및 국소적 약물투여외용약 및 국소적 약물투여의 목적은 피부나 점막의 분비물 증감, 혈관 수축/이완 등을 위함이다. 약물의 종류로는 연고제, 경고제, Paste제, 찰제, 좌약, Patch, 점안제 등이 있다. 점안약 투여 시 눈에 약이 잘 닿도록 하안검을 당기고 약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귀약 투여 시 외이도를 똑바로 하여 약물을 떨어뜨리고 이주를 눌러준다. 질약이나 좌약은 질강이나 직장에 삽입하여 국소적으로 작용하게 한다.
-
3. 좌약좌약은 질강이나 직장에 삽입하여 국소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약물 투여 방법이다. 질약 투여 시에는 환자를 누운 자세로 하고 질강 상부에 약 6cm 정도 깊이로 삽입한다. 직장좌약 투여 시에는 왼쪽 측와위로 하고 오른쪽 다리를 구부려 둔부만 노출시킨 후 좌약을 항문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좌약이 곧바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휴지로 항문을 막아주며, 하제 좌약의 경우 환자 옆에 벨을 두어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한다.
-
1. 경구투약경구투약은 약물을 복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편리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투여 방법입니다. 경구투약은 약물이 위장관을 통해 흡수되어 전신 순환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거치므로, 약물의 생체이용률과 작용 시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순응도가 높아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약물은 위장관에서 분해되거나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다른 투여 경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의 특성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경구투약의 적절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
2. 외용약 및 국소적 약물투여외용약 및 국소적 약물투여는 피부, 점막, 안구 등 국소 부위에 직접 적용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신 순환을 거치지 않아 전신 부작용의 위험이 낮고, 약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또한 환자의 순응도가 높아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약물의 흡수와 분포가 제한적이므로 전신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소 병변의 치료에 적합한 약물을 선택하고, 투여 방법과 용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
3. 좌약좌약은 직장 내에 투여하는 약물 제형으로, 주로 완화제, 진통제, 항염증제 등의 약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좌약은 직장을 통해 약물이 신속하게 흡수되어 전신 순환계로 들어가므로, 구토나 설사로 인해 경구투약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합니다. 또한 간 초회통과 효과를 피할 수 있어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환자의 순응도가 낮고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며, 일부 약물은 직장 점막에서 분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좌약 투여 시 약물의 특성과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