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병동간호사 교육_상처 소독 (드레싱 등)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병동간호사 교육_상처 소독 (드레싱 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31
문서 내 토픽
-
1. 상처 소독 (드레싱 등)상처 소독의 목적은 상처 조직 및 상처 주위 피부의 손상과 감염을 예방하고 청결 유지를 통해 상처 회복을 증진하기 위함이다. 준비물품으로는 생리식염수, 드레싱 세트, 멸균거즈, 소독솜, 반창고, 일회용 장갑, 멸균장갑 등이 필요하다. 드레싱 전·후에 반드시 손위생을 하고, 대상자에게 상처 소독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일회용 장갑을 끼고 피부를 누르면서 붙여진 드레싱을 제거하며, 수술 상처의 경우 무균술을 이용한다. 상처의 상태를 사정하고 생리식염수 또는 소독액을 적신 소독솜이나 거즈로 상처를 세척한다. 상처의 상태에 따라 멸균 거즈 또는 습윤 드레싱 제품을 적용한 후 고정한다. 드레싱 시간, 상처의 상태, 드레싱 시 사용한 물품,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
2. 소독제다양한 소독제의 특성이 소개되었다. 헥시딘(Chlorhexidine)은 그람 양성·음성 세균, 진균, 바이러스 소독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소독약이다. 포타딘(Povidone Iodine)은 그람 양성·음성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에 강력한 소독력을 가지지만 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알코올(70% 에탄올)은 가벼운 상처 소독에 사용되며 세균, 진균, 결핵균, 바이러스에 효과적이다.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는 상처 소독용이 아니라 기구 소독에 적합하다. 붕산수(Boric acid)는 살균 작용이 약하며 피부 질환, 화상, 점막 소독에 사용된다. 락스(lax)용액은 강력한 산화 능력으로 세포내 단백질을 파괴하여 그람 양성·음성 세균, 진균, 결핵균, 바이러스 소독에 효과적이다.
-
3. 드레싱의 종류다양한 드레싱 제품의 특성이 소개되었다. 보습거즈 드레싱은 생리식염수를 적신 거즈를 사용하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습윤 환경 유지가 어렵다. 반투과성 필름 드레싱은 가스 교환이 가능하고 상피세포 보호에 유용하다. 폼(foams) 드레싱은 삼출물 흡수에 효과적이다. 하이드로겔 드레싱은 괴사조직 제거를 촉진하고 사강 채우기에 좋다. 칼슘 알지네이트와 하이드로화이버 드레싱은 삼출물 흡수가 뛰어나고 지혈 효과가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은 상처 치유 환경 유지와 괴사조직 제거에 효과적이다.
-
4. 상처 세척상처 세척의 목적은 상처 세균 제거, 삼출물이나 괴사조직 제거, 처방된 약물 투여이다. 필요한 장비 및 물품으로는 멸균장갑, 멸균용기, 주사기, 세척액, 멸균 드레싱 제품 등이 있다. 대상자에게 상처 세척의 절차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
5. 상처 배액관 관리폐쇄된 곳에 체액이 모여 상처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배액관을 상처 내부나 근처에 삽입한다. 개방 배액법과 폐쇄식 배액법이 있으며, 배액관 재질, 위치, 관리 시 주의사항 등이 설명되었다. 배액을 비울 때는 무균법을 사용해야 한다.
-
6. 상처부위 지지드레싱을 고정하기 위해 테이프, 에이스 랩, 바인더, 붕대, 써지네트 등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상처에 드레싱을 지지하고 대상자에게 안위와 안전감을 제공하며 상처와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1. 상처 소독 (드레싱 등)상처 소독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상처 소독을 통해 상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드레싱은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습윤 환경을 유지하여 상처 치유를 돕습니다. 드레싱 선택 시 상처의 특성, 상태,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하며 적절한 드레싱 교환 주기를 지켜야 합니다. 또한 드레싱 교환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하여 상처 부위의 2차 감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상처 소독과 드레싱은 상처 치유의 핵심 요소이므로 전문가의 지도하에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
2. 소독제소독제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소독제 선택 시 상처의 특성, 상태,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하며 상처 부위에 적합한 소독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생리식염수, 포비돈 요오드, 클로르헥시딘 등이 많이 사용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소독제 사용 시 상처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과도한 사용은 오히려 상처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소독제 사용 후 충분한 세척이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도하에 상황에 맞는 적절한 소독제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드레싱의 종류드레싱은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드레싱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상처의 특성, 상태, 위치 등에 따라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즈,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폼, 알지네이트, 투명 필름 등의 드레싱이 사용됩니다. 각 드레싱은 상처 부위의 습윤 상태, 삼출물 양, 통증 등에 따라 선택되며, 드레싱 교환 주기도 상황에 맞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도하에 상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상처 세척상처 세척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상처 세척을 통해 상처 부위의 오염물질, 괴사 조직, 삼출물 등을 제거할 수 있어 감염 예방과 상처 치유 촉진에 도움이 됩니다. 상처 세척 시 생리식염수, 멸균수 등의 세척액을 사용하며, 세척 압력은 상처 부위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세척 시 상처 부위를 과도하게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상처 세척은 상처 관리의 핵심 단계이므로 전문가의 지도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5. 상처 배액관 관리상처 배액관은 상처 부위의 삼출물을 배출하여 상처 치유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처 배액관 관리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하여 상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배액관 삽입 부위와 배액관 자체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감염 징후를 확인해야 하며, 배액관 교환 시기와 방법을 전문가의 지도하에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배액관 연결 부위의 누출 여부, 배액량과 색상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처 치유 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상처 배액관 관리는 상처 치유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전문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6. 상처부위 지지상처 부위 지지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상처 부위 지지를 통해 상처 부위의 압박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어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상처 부위 지지를 위해 드레싱, 붕대, 압박 스타킹 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처 부위의 특성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지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상처 부위 지지 시 혈액 순환과 압박 정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처 치유 과정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상처 부위 지지는 상처 치유에 필수적이므로 전문가의 지도하에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
[간호관리학 실습] A++ 과제_리더십이론, 구체적으로 작성함, 칭찬받음 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bmp..FILE:BinData/image2.bmp..FILE:BinData/image3.png..FILE:BinData/image4.bmp..FILE:Contents/section0.xmlⅣ-3. 지휘단계. 간호단위 내 리더십다음 대표적 리더십이론을 근거로 구성원에게 적용하는 사례를 찾아봅시다.리더십이론의 특징관...2025.02.13· 4페이지 -
간호관리학실습_케이스스터디 A+++ (교수님이 칭찬해주신 케이스스터디 A+ 보장!!!!!!!) 후회없으실거에요 13페이지
간호관리학실습- 간호관리과정 보고서 -교과목명간호관리학 실습실습병원/조실습기간과제명학번/이름담당교수제출일차 례Ⅰ. 서론31. 사례 132. 사례 23Ⅱ. 본론(문제해결과정)41. 간호관리 문제목록42. 간호관리과정51) 1단계: 전반적 관리현황파악52) 2단계: 간호관리 진단규명83) 3단계: 가치관의 우선순위결정94) 4단계: 행동목표105) 5단계: 문제의 진술106) 6단계: 대안탐색107) 7단계: 대안분석128) 8단계: 문제상황129) 9단계: 의사결정1210) 10단계: 평가1211) 11단계: 최종평가13Ⅲ. 참고문헌...2025.02.21· 13페이지 -
정맥주사에 대한 간호사정, 정맥주사요법 시 정맥염 방지를 위한 간호사정 39페이지
Intravenous TherapyEvidence-Based Nursing 5 STEPEvidence - Based Nursing1단계2단계3단계4단계5단계임상질문 만들기근거의 검색근거의 비평적 분석근거의 실무적용평가STEP 1. Create a search strategy60세 김OO씨는 Aspiration pneumonia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받다가 병동으로 전입을 왔다. 주사를 맞고 있는 IV부위가 발적과 부종이 있어 IV 위치를 바꾸기 위해 알코올 솜으로 소독을 하던 중에 환자가 물었다. 중환자실에서는 빨간약으로 소독을 했는데...2020.04.06· 39페이지 -
관리 실습 레포트 32페이지
Ⅰ. 기획1. 실습 간호단위의 연간 계획을 조사하고, 간호부 조직의 사업추진 방향과의 연계성을 평가하시오.▶ 163 병동 연간 계획서항목시행기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팀 SPI활동: 의료기관 평가 대비 활동팀 CPI활동: 신입 간호사 정맥술의 기술 향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병동내 정맥주사 합병증 감소 활동보수교육병동 Conference병동 워크샵병동 야유회팀별 테마 여행가기생일 이벤트07년 Preceptor&Preceptee 친목도모이벤트신경외과 과정간호용품 개발 및 실무 적용: 환자용 손싸개, 휠체어 고...2011.08.18· 32페이지 -
간호 관리 실습 레포트 -PPT 72페이지
간호단위 관리Ⅰ. 기 획1. 163 병동 연간 계획서항 목시 행 기 간123456789101112팀 SPI활동: 의료기관 평가 대비 활동팀 CPI활동: 신입 간호사 IV기술 향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병동내 정맥주사 합병증 감소 활동보수교육병동 Conference병동 워크샵병동 야유회팀별 테마 여행가기생일 이벤트07년 Preceptor Preceptee 친목도모이벤트신경외과 과정간호용품 개발 및 실무 적용: 환자용 손싸개, 휠체어 고정 조끼, 소변백 커버간호연구 활동: 노인 간호연구일반 내과 매뉴얼 제작팀리더를 위한 길라잡이 제작:...2011.08.18· 7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