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황속의 경제 기출문제(공공재, 거시경제, 시장, 경직성)
본 내용은
"
상황속의 경제 기출문제(공공재, 거시경제, 시장, 경직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1
문서 내 토픽
-
1. 공공재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특징으로 하며, 시장이 아닌 공공기관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방송, 국방, 법률, 도로, 공원 등이 있다. 공공재는 추가로 소비할 때 한계비용이 0이므로 누구나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2. 무임승차자 문제공공재는 비경합적이고 비배제적이므로 소비자들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도 편익을 누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임승차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
1. 공공재공공재는 개인이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국방, 치안, 도로, 공원 등이 있습니다. 공공재는 시장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부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세금 징수, 직접 공급, 규제 등의 방법으로 공공재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공공재의 공급은 사회 전체의 후생을 높이는데 기여하지만, 정부의 개입이 과도하거나 비효율적일 경우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재 공급에 있어서는 정부와 시장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중요합니다.
-
2. 무임승차자 문제무임승차자 문제는 공공재 공급에 있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공공재는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이 공공재를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공공재 이용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무임승차하려는 유인이 발생합니다. 이는 공공재 공급에 대한 무임승차자의 무임승차로 인해 공공재가 과소 공급되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금 징수, 사용료 부과 등의 방법으로 무임승차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공공재 공급에 대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