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간호수행 항목 사전학습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간호수행 항목 사전학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9
문서 내 토픽
-
1. 의식 수준 사정Glasgow coma scale은 의식장애의 수준을 눈뜨기, 언어, 운동의 3가지 기능마다 4~6단계로 기재하는 방법으로,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LOC(의식수준)는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동공반사 관찰은 뇌신경의 이상 유무를 간단하게 검사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
2. 혈당 측정혈당 측정기는 혈당의 수치를 측정하여 당뇨병을 조기 진단하고 감시하며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손가락을 쥐어짜면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으며, 기계는 일정한 기간마다 점검과 청소가 필요합니다.
-
3. 관절 운동 범위 운동능동 ROM과 수동 ROM 운동은 기동성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활동과 운동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실시하며,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운동해야 합니다.
-
4. 정맥 투여정맥 투여는 대상자의 정맥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수분과 전해질, 영양을 공급하고 약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정맥 천자 부위에 합병증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하며, 튜브나 카테터는 각기 다른 용도에 따라 경로를 설정해야 합니다.
-
5. 피하 주사피하 주사는 약물 흡수를 느리게 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상완 외측, 복부, 대퇴 전방이 적합한 부위입니다. 주사 후 마사지는 하지 않으며, 인슐린 주사는 주사 부위를 순서에 따라 돌아가면서 실시합니다.
-
6. 피내 주사피내 주사는 표피 바로 밑에 있는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합니다.
-
7. 정맥 내 일회 투여(IV bolus)IV bolus는 정맥 수액 주입 중에 다른 약을 일회성으로 주입하는 것으로, 약물의 투여 용량을 정확히 계산한 후 실시해야 합니다.
-
8.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항생제 주사 시 과민반응의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기 위해 피부반응 검사를 실시하며, 일부 약물이 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단해야 합니다.
-
9. TPN(완전비경구영양법)TPN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에게 중심 정맥에 삽입한 카테터를 통해 영양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무균술을 적용하고 주입률을 정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10. 정맥주입속도 및 약용량 계산수액의 주입속도와 약물의 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간호사의 중요한 임무이며, 투약과오를 예방하고 안전한 간호 실무를 보장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
1. 의식 수준 사정의식 수준 사정은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의식 수준을 정확히 사정하고 기록하는 것은 환자의 상태 변화를 빨리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의식 수준 사정 시 환자의 반응, 동공 반사, 근육 긴장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식 수준 사정 결과를 의료진과 공유하여 환자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 혈당 측정혈당 측정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간호사는 혈당 측정 시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된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혈당 측정 결과를 환자와 의료진에게 신속히 전달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나아가 간호사는 환자의 혈당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교육과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3. 관절 운동 범위 운동관절 운동 범위 운동은 관절 기능 유지와 근력 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목표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해야 합니다. 이때 환자의 통증 수준, 관절 가동 범위, 근력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운동 강도와 방법을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운동의 중요성과 방법을 교육하여 환자가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정맥 투여정맥 투여는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간호 중재로, 간호사의 전문성과 숙련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정맥 투여 시 무균 술식을 준수하고 투여 속도와 약물 용량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또한 투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환자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나아가 간호사는 정맥 투여와 관련된 최신 지침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5. 피하 주사피하 주사는 약물 투여 경로 중 하나로, 간호사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됩니다. 간호사는 피하 주사 시 주사 부위 선정, 주사액 준비, 무균 술식 준수, 주사 기술 등을 정확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주사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피하 출혈, 통증, 감염 등을 예방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피하 주사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충분히 갖추어야 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6. 피내 주사피내 주사는 약물이나 항원을 피부 내층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기술이 요구됩니다. 간호사는 피내 주사 시 주사 부위 선정, 주사액 준비, 무균 술식 준수, 주사 기술 등을 숙지하고 정확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주사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피부 반응, 통증, 감염 등을 관찰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피내 주사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충분히 갖추어야 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7. 정맥 내 일회 투여(IV bolus)정맥 내 일회 투여(IV bolus)는 약물을 신속하게 투여하는 방법으로, 간호사의 전문성과 숙련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IV bolus 시 약물 용량 계산, 주사 속도 조절, 주입 시간 준수, 부작용 관찰 등을 정확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반응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필요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IV bolus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충분히 갖추어야 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8.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는 환자의 항생제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간호사는 검사 절차를 정확히 숙지하고 무균 술식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환자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나아가 검사 결과를 의료진에게 신속히 전달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9. TPN(완전비경구영양법)TPN(완전비경구영양법)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필수적인 영양 공급 방법입니다. 간호사는 TPN 관리 시 무균 술식 준수, 투여 속도 조절, 합병증 예방 및 관찰 등을 정확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영양 상태와 반응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필요 시 의료진과 협력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나아가 간호사는 TPN 관리와 관련된 최신 지침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10. 정맥주입속도 및 약용량 계산정맥주입속도와 약용량 계산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처방에 따라 정확한 계산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때 간호사는 관련 공식과 단위 환산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계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계산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 시 재계산하여 투여 속도와 약용량의 정확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수행항목 사전학습 보고서1. 의식 수준 평가 환자의 의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Glasgow coma scale을 사용하며, 눈뜨기, 언어, 운동의 3가지 기능을 단계별로 평가한다. 의식 수준은 5단계로 나뉘며, 의식 수준 평가가 필요한 대상자는 뇌손상 이후 의식 수준 변화가 있는 경우와 응급 상황이다. 평가 시 주의사항으로는 소음이나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환경을 통제하는 것이다....2025.01.1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순환장애 및 호흡장애 대상자 간호, 간호수행 항목1. 순환장애 대상자 간호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순환과 전도체계, 주요 심장질환(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염증성 심질환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각 질환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2. 호흡장애 대상자 간호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주요 호흡기질환(폐렴, 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2025.01.03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_순환장애 대상자 간호, 호흡장애 대상자 간호, 간호수행 항목 사전학습 48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Ⅰ 사전학습Ⅰ. 병동 관련 사전학습ⅰ. 순환장애 대상자 간호1) Heart의 구조와 기능가) Heart의 구조heart는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heart의 위치는 mediastinum의 중앙과 thorax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diaphragm이 있고, diaphragm 위 apex가 앞쪽을 향하고 있다. heart의 base는 약 3번째 rib에 위치한다.heart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쪽에는 right atr...2024.01.27· 48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수행항목 사전학습 보고서 14페이지
환자의식 Check· Glasgow coma scale, LOC 적용법의미의식장애의 수준을 눈뜨기, 언어, 운동의 3가지 기능마다 4~6단계로 기재하는 방법LOC : 의식수준 (level of consciousness) 5단계로 나뉜다. - ① Alert(명료) ② Drowsy(기면) ③ Stupor(혼미) ④ Semi- coma(반 혼수) ⑤ Coma(혼수)목적대상자의 의식 수준(LOC)을 판단하기 위해서 ; 15점(alert), 7점 이하(coma)적용대상 뇌손상 이후 의식 수준의 평가가 필요한 대상자, 응급 상황 시간호 시주의...2024.07.02· 14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사전학습 간호수행 항목 - 환자의식 check, 위생간호 및 기본간호, 투약, 배뇨, 배변, 산소요법, 진단방사선검사 간호, 기능검사 간호, 핵의학 검사간호, 수혈 간호, 감염관리, 상처간호 1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1사전 학습2 – 간호수행 항목교수분반학번이름1. 환자의식 Check가. Glasgow coma scale, LOC 적용법1) 의미의식수준을 사정하고 기록하는 눈뜨기 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을 점수화하는 Glasgowcoma scale(GCS) 이다. 완전 무의식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낮은 점수는 3점이고, 정상은 15점이다. 동공의 크기와 모양, 빛에 대한 반응과 대칭성도 평가한다.2) 목적환자의 의식 수준 평가, 언어적, 물리적 자극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눈의 움직임, 몸의 움직임, 말에 대한 대답 등을 관찰한다....2022.08.24· 16페이지 -
성인간호학 사전과제 (소화기,내분비,간호수행 항목 사전학습) 45페이지
가)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의 구조와 기능① Process food substances (음식을 가공하는 과정)② Absorb the products of digestion into the blood (소화산물을 혈액으로 흡수)③ Excrete unabsorbed materials (흡수되지 않은 물질을 배설)④ Provide an environment for microorganisms to synthesize nutritions (영양분을 합성하는 미생물을위한 환경제공)1) Oral cavity 구조 : 상부- soft...2023.10.02· 45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A+]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목차 참고, 내용 多) 3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Ⅲ-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실습 기관원광대학교 산본병원실습 부서ICU실습 기간이 름학 번제출일자담당교수- 목차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1) 상부기도2) 하부기도3) 호흡기계 방어기전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3. 신경계 구조와 기능1) 신경계 기본 구조2) 중추신경계; 뇌3) 중추신경계; 척수4) 말초신경계5) 신경계 보호와 유지기능4.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ABGA5. Emergency cart 약물6. Endotracheal intubation7.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8. 산...2023.02.05· 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