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소화기 질환자 간호 [위세척(Gastric lavage), 위장관 삽입(튜브 삽관의 목적, 튜브의 종류)]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소화기 질환자 간호 [위세척(Gastric lavage), 위장관 삽입(튜브 삽관의 목적, 튜브의 종류)]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6
문서 내 토픽
  • 1. 위세척(Gastric lavage)
    위세척(Gastric lavage)은 위 내용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추신경계 억압, 구개반사 소실, 구토 불가능 환자에게 실시한다. 물품으로는 세척용 normal saline, 물통, tube 연결관, 클램프(clamp)가 필요하며, 250-500ml 정도의 액체를 주입하고 내용물이 깨끗해질 때까지 계속한다. 금기증으로는 약물 중독, 심각한 출혈 경향, 식도-위 정맥류, 날카로운 물질 섭취, 심각한 구토, 의식혼탁 등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식도, 위 천공, 비출혈, 폐 흡인 등이 있다.
  • 2. 위장관 튜브 삽관의 목적
    위장관 튜브 삽관의 목적은 감압(decompression), 세척(lavage), 위액분석 및 관영양(tube feeding)이다. 감압은 폐색으로 인한 압력 완화, 세척은 중독 응급치료나 세포 검사를 위해, 관영양은 구강 섭취가 부적절할 때 수분과 영양 공급을 위해 사용한다.
  • 3. 튜브의 종류
    위장관 튜브의 종류에는 Levin tube, Miller-Abott tube, Sengstaken-Blakemore tube가 있다. Levin tube는 구토 시 흡인 방지를 위해 좌측위로 눕히고, 최소 1리터 세척하며 적응증은 중독물질 제거, 고독성 물질 다량 섭취, 지연된 중독 사례이다. Miller-Abott tube는 장폐색, 수술 전 장 감압에 사용하며, Sengstaken-Blakemore tube는 식도정맥류 출혈 시 사용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위세척(Gastric lavage)
    위세척은 독성 물질이나 독극물을 위에서 제거하는 응급 처치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신속하게 위 내용물을 제거하여 독성 물질의 흡수를 막고 중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세척은 기도 폐쇄, 천공, 폐부종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신중하게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위세척 후에도 활성탄 투여, 강제 배뇨 등의 추가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세척은 전문의의 판단 하에 신중하게 시행되어야 하며, 환자의 상태와 중독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위장관 튜브 삽관의 목적
    위장관 튜브 삽관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위장관 감압을 통해 위장관 내 압력을 낮추고 위장관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장관 폐쇄, 장마비, 위장관 출혈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영양 공급을 위해 튜브를 통해 액체 영양제나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위장관 출혈이나 천공 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튜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넷째, 위장관 감압을 통해 복부 수술 전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위장관 튜브 삽관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처치 방법입니다.
  • 3. 튜브의 종류
    위장관 튜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위관 튜브(Nasogastric tube)와 비위관 튜브(Nasojejunal tube)입니다. 위관 튜브는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되며, 위 내용물 배출, 영양 공급, 약물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비위관 튜브는 코를 통해 공장까지 삽입되어 영양 공급이나 위장관 감압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 외에도 위루관(Gastrostomy tube), 공장루관(Jejunostomy tube)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복벽을 통해 직접 위나 공장에 삽입되는 튜브로, 장기적인 영양 공급이나 위장관 감압에 사용됩니다. 튜브의 종류와 위치는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