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 봅시다.
본 내용은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 봅시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4
문서 내 토픽
  • 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파열음, 유음, 중모음, w-계 이중모음, 초분절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의 파열음 삼중대립, 탄설음 발음, 중모음 'ㅔ, ㅚ'와 'ㅓ'의 발음, 'ㅙ' 이중모음 발음, 강세구 억양 실현 규칙 등이 중국어와 차이가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
  • 2.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삼중대립, 모음 긴장-이완 대립, 강세, 리듬, 억양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의 자음 이중대립과 한국어의 삼중대립의 차이, 영어 모음의 긴장-이완 대립이 한국어에 없는 점, 한국어 강세의 예측 가능성과 영어 강세의 불규칙성, 두 언어의 리듬과 억양 차이 등이 영어권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 3.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에 없는 베트남어의 자음들, 한국어의 평음-경음-격음 대립,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종성 'ㄹ' 발음 등이 베트남어권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또한 한국어의 이중모음과 초분절음 발음도 어려워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주로 두 언어 간의 음운 체계 차이 때문입니다.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반면, 중국어는 성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한국어의 격음(ㅋ, ㅌ, ㅍ, ㅊ)과 경음(ㄲ, ㄸ, ㅃ, ㅆ, ㅉ)은 중국어에 없는 발음이라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구분하기 어려워합니다. 또한 한국어의 모음 체계도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발음 습득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인지하고 집중적인 발음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영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주로 두 언어 간의 자음과 모음 체계 차이 때문입니다. 영어에는 없는 한국어의 격음과 경음은 영어권 학습자들에게 큰 어려움을 주며, 한국어의 모음 체계도 영어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발음 습득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한국어의 종성 발음은 영어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영어권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영어권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체계적인 발음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주로 두 언어 간의 자음과 모음 체계 차이 때문입니다. 베트남어는 성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한국어에는 성조가 없습니다. 또한 베트남어에는 없는 한국어의 격음과 경음은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에게 큰 어려움을 줍니다. 특히 한국어의 종성 발음은 베트남어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발음 습득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체계적인 발음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