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학개론 천자칼럼-사회학이 사회를 인식하는 본질적인 관점들
본 내용은
"
사회학개론 천자칼럼-사회학이 사회를 인식하는 본질적인 관점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4
문서 내 토픽
-
1. 사회실재론사회실재론은 사회를 인식하는 관점 중에서 가장 거시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이 관점에 따르면 사회는 개개인이 모여 구성되지만, 이렇게 구성된 사회의 가치는 개개인이 가진 가치의 합보다 크다고 인식한다. 즉, 사회실재론에선 사회의 구속성과 외재성을 크게 부각시키며 모든 개인은 사회에 종속된다고 인식하기에 과거 역사에선 전체주의의 근거로도 활용되었다.
-
2. 사회명목론사회명목론은 사회실재론과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는 관점으로써, 사회의 가치와 그것을 구성하는 개개인이 가진 가치의 합과 같다고 인식한다. 즉, 사회명목론에선 개인이 없이는 사회가 존재할 수 없다고 보기에 자유, 권리, 선택, 창의성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미시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
3. 상호작용론상호작용론은 앞서 말한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의 중간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안타깝게도 이것은 굉장히 모호한 형태를 보인다. 상호작용론 관점에 따르면 개인과 사회는 서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유지된다고 여기기에 두 요소가 합리적인 조화를 이루어야한다고 판단한다.
-
1. 사회실재론사회실재론은 사회가 개인들의 단순한 집합 이상의 실체라고 주장합니다. 사회는 개인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독립적인 존재이며, 개인들의 행동과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와 규범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사회는 개인들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실체이며, 개인들은 사회의 영향을 받아 행동하게 됩니다. 사회실재론은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 수준의 분석만으로는 부족하며, 사회 수준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사회 현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
2. 사회명목론사회명목론은 사회가 개인들의 단순한 집합체라고 주장합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사회는 개인들의 행동과 의식의 총합일 뿐이며, 개인들 외에 별도의 실체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의 분석이 필요하며, 사회 수준의 분석은 불필요하다고 봅니다. 사회명목론은 사회를 개인들의 집합체로 보기 때문에, 사회 구조나 규범과 같은 요소들이 개인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상호작용론상호작용론은 사회가 개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사회는 개인들의 행동과 의식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만들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개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사회를 구성하고, 사회 또한 개인들의 행동과 의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상호작용론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보다 균형 잡힌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줍니다. 개인과 사회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점을 인정함으로써, 사회 현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