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부모의 심리단계에 대해 알아보고 예를 작성해보시오
본 내용은
"
최신자료/ 특수아부모의 심리단계에 대해 알아보고 예를 작성해보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3
문서 내 토픽
  • 1. 충격의 단계
    장애 아동 부모들은 자녀가 장애라는 진단을 받았을 때 큰 충격을 받게 되며, 향후 삶에 대한 암담함과 절망감으로 심리적으로 매우 큰 고통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중증 장애아동을 키우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장애를 알게 되었을 때 '제발 하늘로 데려가 달라고 빌었다'고 말할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 2. 불신과 부정의 단계
    다양한 기관을 다니며 진단을 받고 치료를 통해 자녀의 장애의 존재를 부정하려고 한다. 유명 가수의 아내가 '아픈 애는 낫게 하면 되는데 뭐가 걱정이냐'고 했다는 것처럼, 자녀의 장애를 점차 직면하게 된다.
  • 3. 수치의 단계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창피하고 수치스러운 일로 생각된다. 모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자녀를 집안에 감금하거나 격리시키기도 한다. 고의적으로 버리기까지 하는 단계가 이러한 수치의 단계이다.
  • 4. 죄책감과 책임감의 단계
    장애의 원인에 대하여 부모 자신에게로 돌려 죄책감 속에서 헤매게 된다. 이러한 죄책감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자녀를 과잉보호하거나 지나친 동정의 감정에 사로잡히게 되어 자녀에게 바른 교육을 하지 못할 수 있다.
  • 5. 우울, 질투의 단계
    더 이상 피하기 어려운 장애아동의 부모라는 현실 속에서 우울과 상실감을 경험하게 되며, 자녀의 장애에 대한 열등감과 괴로움으로 타인의 장애가 없는 자녀에게 시기심을 느끼게 된다.
  • 6. 극단적인 배척과 과잉보호의 단계
    자녀에 대해 매우 극단적으로 배척하거나 이와 반대로 과잉보호를 하게 되는 단계이며,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배척과 과잉보호의 수준이 심해진다.
  • 7. 적응의 단계
    앞의 6단계를 거쳐 자녀의 장애를 받아들이게 되고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이 단계부터 부모는 특수교육기관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게 되고 자녀의 장애 외 다양한 사랑스러운 부분을 보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불신과 부정의 단계
    불신과 부정의 단계는 상실이나 변화에 대한 거부감이 지속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합니다. 이 단계를 잘 극복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신과 부정의 단계를 겪는 사람들에게는 주변의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죄책감과 책임감의 단계
    죄책감과 책임감의 단계는 상실이나 변화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행동이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려 하며,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잘 극복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죄책감과 책임감의 단계를 겪는 사람들에게는 주변의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극단적인 배척과 과잉보호의 단계
    극단적인 배척과 과잉보호의 단계는 상실이나 변화에 대한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상황을 완전히 거부하거나, 반대로 과도하게 보호하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단계를 잘 극복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극단적인 배척과 과잉보호의 단계를 겪는 사람들에게는 주변의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