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이러닝 사진사와미학 2차과제
본 내용은
"
부울경이러닝 사진사와미학 2차과제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2
문서 내 토픽
  • 1. 1870~80년대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해병대 종군사진반이 전투현장을 기록한 사진이 최초의 사진이며, 오경석은 1872년 청나라에서 프랑스 외교관 매휘립이 찍은 자신의 초상사진을 가지고 귀국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초상사진을 남겼다. 또한 역관, 해외 시찰 등을 통해서 사진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었다.
  • 2. 1900~10년대
    사진의 본격적인 도입과 기술적인 보급은 1900년대이며 청일전쟁(1894) 이후 일본의 한국진출에 힘입어 일본인들이 사진관을 만들고 영친왕의 서예 스승이 던 서화가 해강 김규진이 1907년 8월 17일 석정동에 사진관, '천연당 사진관'을 개관, 약 10년 동안 운영하면서 이때부터 사진관, 사장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사진의 대중화에 공헌했다.
  • 3. 1920년대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중반에 걸치는 10년간은 사진의 황금기로 르네상스를 이루었다. 한국인만으로 경성 사진사협회가 결성되었고, 정해창은 우리나라 최초로 제1회 예술사진 전람회를 광화문에서 개최했다.
  • 4. 1930년대
    1930년대는 한국사진사에서 마아추어 사진계가 형성되던 시기로, 서울에서는 경성아마추어 사진구락부, 백양사우회, 각 지방 사우회 조직이 이루어졌다. 1935년 전조선사진살롱 전국공모전(경성일보)을 개최, 연례적인 납량사진공모전(조선일보)을 개최가 사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5. 1940년대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 일제가 전쟁에 참여. 이로 인하여 1940년대 중반은 사진의 재료 결핍과 사진의 기록성 때문에 사진 촬영이 극도로 제한된 암흑기였다. 1945년 전국 조직으로 확대된 조선사진예술연구회가 결성되었다.
  • 6. 1950년대
    1950년대를 기점으로 전 근대와 근대로 분류된다. 50년대에는 한국 사진이 해외 사진전에 출품되면서 한국 사진의 국제화가 이루어졌다. 1950년대까지는 한국 사진의 초창기로서 살롱사진(Salon Picture)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50년대에 일어난 한국전쟁 등 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현실을 고발하고 비판 묘사하는 경향으로서 리얼리즘 사진이 나타나게 되었다.
  • 7. 1960년대
    1960년대부터 사진계가 사회 속에 자리를 잡은 시기로, 80년대의 컬러사진으로서의 전환은 상업사진의 발달을 가져왔고, 상업사진을 통해 프로사진작가들이 출현하였다. 한편 대학에 사진학과가 설치되고, 영상·사진예술 등 사진 전문 잡지도 발행되어 사진발달을 촉진시켰다.
  • 8. 1970~80년대
    1970년대는 5개년 경제개발과 계속적인 산업사회로의 탈바꿈으로 보도사진과 상업사진이 더욱 활기를 띄게 되었다. 사진은 이제 일상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1980년대에는 컬러사진으로의 전환과 함께 전문 사진(광고, 산업, 예술사진 등)이 발달로 더욱 세분화되었다.
  • 9. 1990~2000년대
    1990년대에는 디지털 사진이 발전하면서 사진가를 암실에서 해방시키고, 영상제작을 작가 스스로 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대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사진의 현상과 인화라는 절대 시간을 필요로 하는 필름 카메라의 조건이 사라지게 되었다.
  • 10. 한국의 현대 사진
    1970년대 신세대들에 의한 새로운 영상주의 사진운동이 전개되었고, 해외유학을 떺난 젊은 세대들이 귀국하여 새로운 사진 활동과 국제적인 안목을 넓혔다. 사롱사진과 리얼리즘사진의 형식에서 탈피하여 사진미학을 정립하고 새로운 표현양식을 갖게 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1870~80년대
    1870~80년대는 근대화와 산업화가 시작된 시기로, 이 시기에 한국은 많은 변화와 혼란을 겪었습니다.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정치적으로는 개화와 보수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이 시기 한국은 근대화의 기반을 마련하였지만, 동시에 외세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 직면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당시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 2. 1900~10년대
    1900~10년대는 한국 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일본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 아래에서 한국인들은 많은 고난과 시련을 겪었지만, 동시에 근대화와 산업화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뿌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1920년대
    1920년대는 한국 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 아래에 놓여 있었지만, 민족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습니다. 3.1 운동, 문화 운동, 노동 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민족 운동이 일어났고, 이를 통해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자주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 1930년대
    1930년대는 한국 근대사에서 매우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더욱 강화되면서 한국인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많은 제약과 탄압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민족 운동은 지속되었고,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인들의 자주성과 저항 정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1940년대
    1940년대는 한국 근대사에서 가장 격동적인 시기였습니다. 일본의 패망과 함께 한국은 해방을 맞이했지만, 곧이어 남북 분단이라는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인들은 자유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념 대립과 외세의 개입으로 인해 많은 고난과 시련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기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 6. 1950년대
    195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입니다. 6.25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와 함께 남북 분단이 고착화되었지만, 이 시기에 한국은 경제 재건과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민주화 운동이 시작되는 등 정치적 변화도 있었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7. 1960년대
    196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이루어냈지만, 동시에 정치적 불안정과 독재 정권의 등장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민주화 운동이 지속되었고, 한국 사회는 점차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나갔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8. 1970~80년대
    1970~8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지만, 동시에 정치적 억압과 민주화 운동의 격화로 인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한국 사회는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나갔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9. 1990~2000년대
    1990~200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이루어냈지만, 동시에 새로운 사회적 문제들도 대두되었습니다. 세계화와 정보화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문제들이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 한국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의 특징과 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0. 한국의 현대 사진
    한국의 현대 사진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매체입니다. 1960년대 이후 한국 사진계에서는 다양한 작가들이 등장했고, 그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의 모습이 생생하게 기록되었습니다. 산업화와 도시화, 민주화 운동, 사회 문화적 변화 등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과 흐름이 사진에 담겨 있습니다. 한국 현대 사진을 통해 우리는 한국 사회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를 전망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