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건강간호학_영화 플랜맨_방어기제 분석
본 내용은
"
정신건강간호학_영화 플랜맨_방어기제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2
문서 내 토픽
-
1. 억압(Repression)영화 속 주인공 한정석은 불쾌한 감정과 충동, 소원, 환상 또는 기억이 자신의 의식 내로 떠오르지 않도록 무의식적으로 차단하는 억압 방어기제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회의 중 다른 사람들의 옷이나 물건이 정돈되지 않은 것을 보고 신경쓰이지만 타인의 것이기에 손을 댈 수 없어 귀를 만지는 행동을 반복하며 이를 무의식 속으로 차단시키고 있다.
-
2. 억제(Suppression)영화 속 차예련 캐릭터는 정리하고 싶은 충동을 참기 위해 일부러 물건들을 흐트러뜨려놓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불쾌감을 의식적으로 차단하는 억제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또한 한정석 역시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자 당황해하며 연필로 네모칸을 칠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불쾌한 경험을 의식적으로 잊고자 하는 억제 방어기제의 일환이다.
-
3. 부정(Denial)영화 속 여고생 캐릭터는 실제로 비둘기 똥을 맞고 죽은 사람에 대한 결과가 전혀 없으며, 이에 대해 말도 해주었지만, 이를 부정하고 자신이 본 것이 환시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부정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4. 취소(Undoing)영화 속 차예련 캐릭터는 타인이 만졌던 물건, 타인과의 접촉 등을 하고 나서 이 흔적을 지우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손을 씻는 취소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또한 한정석 역시 타인과 닿았던 모든 부분을 세척하고 소독하면서 흔적을 없애려 하고, 타인이 자신에게 닿으면 불안해하며 세탁소로 달려가는 모습을 보인다.
-
5.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영화 속 어린 정석(진우) 캐릭터는 엄마가 원하는 천재라는 타이틀과 미국 유학을 위해 'IQ 220인 천재 소년'인 척 방송에 나갔지만, 마지막 생방송에서 알고 있는 답이 아닌 일부러 다른 답을 선택하여 그동안 거짓말을 했음을 들통나게 하는 반동형성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6. 상환(Restitution)영화 속 한정석 캐릭터는 과거 계획에서 벗어난 행동의 결과로 인해 어머니의 죽음이 초래되었다고 생각하여 성인이 된 지금까지 계획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집착적인 행동을 보이는 상환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또한 어린 정석(진우)은 엄마가 죽기 전 손톱을 깎으라고 한 말을 기억하고, 장례식장에서 피가 계속 나는데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손톱을 계속 깎는 모습을 보인다.
-
7. 동일시(Identification)영화 속 한정석 캐릭터는 어릴 때 봤던 엄마의 정돈하는 모습이나 계획을 짜서 활동하는 모습을 현재 성인의 정석이 정리정돈을 하고, 계획한 대로 행동을 하는 모습에서 동일시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8. 함입(Introjection)영화 속 한정석 캐릭터는 어린 진우가 어머니와 떨어지기 싫어 퀴즈 정답을 일부로 틀리게 말한 후, 몰려든 취재진들을 피해 달려 나가는 진우를 붙잡으려다 계단에서 어머니가 떨어져 죽게 되자 자신 때문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며 우는 장면에서 함입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9. 투사(Projection)영화 속 덩치남 캐릭터는 자신의 화를 남탓으로 돌리다가 나중에는 자신에게 화가 많이 난다고 고백하는 등 투사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또한 정석의 회사 동료들도 자신들의 말이 악마의 편집이라고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는 모습을 보인다.
-
10. 합리화(Rationalization)영화 속 한정석 캐릭터는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에게 고백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지 설명하며, 모든 일을 계획안에서 해결하려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분석하여 합당한 이유를 대는 합리화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11. 신체화(Somatization)영화 속 한정석 캐릭터는 고양이가 자신의 몸에 오줌을 싸자 자신이 견디기 힘든 상황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기절하는 신체화 방어기제를 보여준다.
-
1. 억압(Repression)억압은 무의식적으로 불편한 생각, 감정, 충동 등을 의식에서 배제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하고 일시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억압된 내용은 계속해서 무의식 속에 존재하며, 때로는 증상이나 부적응적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억압은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억압된 내용을 의식화하고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억제(Suppression)억제는 의식적으로 불편한 생각, 감정, 충동 등을 억누르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일시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억제된 내용은 계속해서 내면에 존재하며, 때로는 스트레스나 불안, 우울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억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표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억제된 내용을 의식화하고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부정(Denial)부정은 불편한 현실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부정은 때로는 현실을 왜곡하거나 자기기만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불편한 현실을 인정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취소(Undoing)취소는 불편한 행동이나 사고를 무효화하려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취소는 때로는 강박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불편한 경험을 인정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반동형성은 자신의 내적 충동이나 욕구를 의식적으로 반대되는 행동이나 태도로 표현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반동형성은 때로는 극단적인 행동이나 태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내적 욕구와 충동을 인정하고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상환(Restitution)상환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나 실수를 보상하려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죄책감을 해소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상환은 때로는 강박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 동일시(Identification)동일시는 자신을 다른 사람이나 대상과 동일시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동일시는 때로는 자신의 정체성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함입(Introjection)함입은 자신의 내적 대상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함입은 때로는 자신의 정체성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투사(Projection)투사는 자신의 내적 특성을 외부 대상에게 귀속시키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투사는 때로는 타인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내적 특성을 인정하고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합리화(Rationalization)합리화는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를 정당화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합리화는 때로는 자기기만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히 수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1. 신체화(Somatization)신체화는 심리적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갈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자기 이해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신체화는 때로는 실제 신체적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신의 내적 갈등을 인정하고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