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의 구조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
본 내용은
"
근육의 구조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0
문서 내 토픽
  • 1. 등세모근(승모근)의 해부학적 이해
    등세모근(승모근)은 목덜미인대(항인대)와 C1~C5의 가시돌기, 빗장뼈의 외측 1/3에 부착되어 있다. 상부섬유는 어깨거상, 중부섬유는 어깨후인, 하부섬유는 어깨하인 작용을 한다. 등세모근이 약화되면 중력상에서 머리를 잡아주고 지탱하는 역할이 어려워져 목이 전방을 향하거나 경추와 어깨에 변형을 초래한다.
  • 2. 흉배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
    넓은등근(광배근)은 흉추7~12의 가시돌기와 엉덩뼈능선 아래쪽 3~4 갈비뼈에서 기시하여 위팔뼈 결절사이고랑에 부착된다. 작용은 위팔뼈의 모음, 폄, 안쪽 돌림이다. 척추세움근은 척추를 바로 세우고 지탱하는 근육으로 가시근, 가장긴근, 엉덩갈비근으로 구성된다. 이들 근육은 엉치엉덩관절에 다발로 붙어 척추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 3. 가시아래근(극하근)의 해부학적 이해
    가시아래근은 어깨뼈 가시아래오목에서 기시하여 위팔뼈 큰결절의 중간 관절면에 부착된다. 팔을 벌릴 때 어깨세모근을 도와 위팔뼈머리를 가쪽으로 돌린다. 가시아래근의 문제는 12번째 등뼈부위에 림프액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가로막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 4. 가시위근(극상근)의 해부학적 이해
    가시위근은 어깨뼈 가시위오목에서 기시하여 위팔뼈 큰결절의 위관절연에 부착된다. 팔을 벌릴 때 어깨세모근을 도와 작용한다. 가시위근의 만성적인 긴장은 어깨 앞면에 국소적인 칼슘 침착이나 관절오목에서 위팔뼈머리의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윤활주머니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 5. 큰원근(대원근)의 해부학적 이해
    큰원근은 어깨뼈 아래각의 뒷면에서 기시하여 위팔뼈 결절사이고랑의 안쪽에 부착된다. 작용은 위팔뼈의 벌림, 안쪽 돌림, 뒤로 당김이다. 큰원근은 가시위근과 같은 관점에서 몸통과의 연관성이 중요하며, 문제가 생기면 등뼈 3번 레벨인 신주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6. 어깨올림근(견갑거근)의 해부학적 이해
    어깨올림근은 경추 1, 2, 3, 4번에서 꼬여서 견갑골 상각에 부착된다. 어깨올림근에 문제가 있으면 뻣뻣해지는 담이 결리는 항강증을 만드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동측 폐의 운동성에 문제를 가진 것이다.
  • 7. 마름근(능형근)의 해부학적 이해
    마름근은 2~5 등뼈 가시돌기에서 기시하여 어깨뼈 안쪽 모서리에 부착된다. 어깨뼈를 돌림하고 모음하는 작용을 한다. 마름근은 등세모근 아래에 위치하며, 견갑골과 몸통을 연결시켜 견관절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8. 널판근(판상근)의 해부학적 이해
    널판근은 목덜미인대의 아랫부분 7번째 목뼈 가시돌기 위쪽 3~4 등뼈의 가시돌기에서 기시하여 관자뼈 꼭지돌기 위목덜미선의 가쪽부분에 부착된다. 머리와 목을 폄하고 가쪽 굽힘하는 작용을 한다. 널판근은 어깨뼈에서 올라오는 어깨올림근의 막과 연결되어 있어 위로 올라가고 아래로는 반대측 마름근, 앞톱니근, 배바깥빗근으로 몸통을 감싸며 반대쪽 배속빗근으로 골반까지 이어진다.
  • 9. 위뒤톱니근(상후거근)과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의 해부학적 이해
    위뒤톱니근은 경추7~흉추3번 가시돌기에서 기시하여 늑골 2~5번 흉추부 근막에 부착된다. 흡기 시 늑골 2~5번을 상승시킨다. 아래뒤톱니근은 흉추11~요추2번 가시돌기에서 기시하여 늑골 9~12번 정중선 내측에 부착된다. 호기 시 늑골 9~12번을 하강시키고 척추를 외회전시킨다.
  • 10. 허리네모근(요방형근)의 해부학적 이해
    허리네모근은 엉덩허리인대 엉덩뼈능선의 뒷부분에서 기시하여 12번째 갈비뼈의 아래 모서리와 4개 허리뼈의 가로돌기에 부착된다. 양측 작용 시 마지막 갈비뼈를 내리고 몸통을 굽힘하며, 한쪽 작용 시 척주를 가쪽으로 굽힘하고 호흡을 돕는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등세모근(승모근)의 해부학적 이해
    등세모근(승모근)은 목과 어깨 부위에 위치한 큰 근육으로, 어깨 움직임과 목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등세모근은 상부, 중부, 하부의 세 개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마다 고유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상부 섬유는 어깨 올림 동작을, 중부 섬유는 어깨 당김 동작을, 하부 섬유는 어깨 내림 동작을 담당합니다. 또한 목 움직임에도 관여하여 목 폄, 목 기울임, 목 회전 등의 동작을 돕습니다. 따라서 등세모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2. 흉배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
    흉배부 근육은 등 부위에 위치한 근육들로, 어깨와 팔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군에는 큰원근(대원근), 가시아래근(극하근), 가시위근(극상근), 어깨올림근(견갑거근), 마름근(능형근), 널판근(판상근), 위뒤톱니근(상후거근),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등이 포함됩니다. 각 근육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팔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큰원근은 팔을 벌림하고 내회전하는 동작을, 가시아래근은 팔을 내전하고 내회전하는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처럼 흉배부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3. 가시아래근(극하근)의 해부학적 이해
    가시아래근(극하근)은 어깨 관절의 중요한 근육 중 하나로, 팔의 내전과 내회전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가시 아래 부분에 위치하며,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됩니다. 가시아래근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깨 충돌 증후군 등의 질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어, 재활 과정에서 가시아래근의 기능 회복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가시아래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 4. 가시위근(극상근)의 해부학적 이해
    가시위근(극상근)은 어깨 관절의 중요한 회전근개 근육 중 하나로, 팔의 외전과 외회전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가시 위 부분에 위치하며,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됩니다. 가시위근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충돌 증후군, 회전근개 파열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시위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5. 큰원근(대원근)의 해부학적 이해
    큰원근(대원근)은 등 부위에 위치한 대표적인 팔 움직임 근육 중 하나로, 팔의 벌림과 내회전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아래각 부분에서 시작하여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됩니다. 큰원근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 불안정성, 회전근개 파열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원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6. 어깨올림근(견갑거근)의 해부학적 이해
    어깨올림근(견갑거근)은 목과 어깨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어깨 올림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근육은 목뼈의 가시돌기와 견갑골의 상부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어깨올림근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어깨 움직임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 불안정성, 어깨 충돌 증후군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깨올림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7. 마름근(능형근)의 해부학적 이해
    마름근(능형근)은 등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의 움직임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내측 모서리와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마름근은 어깨 관절의 내전과 내회전 동작을 담당하며,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 불안정성, 회전근개 파열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름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8. 널판근(판상근)의 해부학적 이해
    널판근(판상근)은 등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의 움직임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내측 모서리와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널판근은 어깨 관절의 내전과 내회전 동작을 담당하며,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 불안정성, 회전근개 파열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널판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9. 위뒤톱니근(상후거근)과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의 해부학적 이해
    위뒤톱니근(상후거근)과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은 등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의 움직임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근육은 견갑골의 내측 모서리와 흉곽의 뒤쪽 갈비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위뒤톱니근은 어깨 관절의 외전과 내회전 동작을, 아래뒤톱니근은 어깨 관절의 내전과 내회전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두 근육의 약화는 어깨 관절 불안정성, 견갑골 운동 장애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뒤톱니근과 아래뒤톱니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10. 허리네모근(요방형근)의 해부학적 이해
    허리네모근(요방형근)은 허리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척추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요추 횡돌기와 장골능에 부착되어 있으며, 척추의 측굴과 회전 동작을 담당합니다. 허리네모근의 약화는 허리 통증, 척추 불안정성 등의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리네모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재활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요통 환자의 경우 허리네모근의 기능 회복이 중요한 치료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