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찰일지 만3세 발달평가 포함 14명 28Page
본 내용은
"
관찰일지 만3세 발달평가 포함 14명 28Pag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1
문서 내 토픽
-
1. 기본생활청소가 필요해 게임방법을 알려주었고 게임이 시작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신호음이 들리면 재빠르게 뛰어가 빗자루를 들고 바닥을 쓸고 돌아온다.
-
2. 신체운동교사가 OO에게 굵은 리본끈을 제공한다. 교사가 "이걸로 어떤 놀이 할 수 있을까?" 하고 묻는다. OO가 방긋 웃으며 "친구랑 줄다리기해요!" 하고 이야기 하며 옆의 친구와 줄다리기를 해본다.
-
3. 의사소통실외놀이 시간에 찍었던 사진을 인쇄해서 벽면에 붙여주니 하이가 사진 앞으로 다가와 응시하며 탐색한다. 그리고는 교사의 어깨를 툭툭 치며 "어어~"라고 옹알이하며 사진 속 자신의 얼굴을 가리킨다. 교사가 "사진 속 멋진 저 친구는 누구일까요?"라고 묻자 "어어~"라고 옹알이하며 손가락으로 자신을 가리킨다.
-
4. 사회관계교사가 틀어준 동요를 한 참 듣다가 음율 영역으로 가서 소고를 두드리는 모습이 보였다. 다른 OO가 가까이 다가가자 "너도 이거로 연주해봐" 라며 친구에게 함께 악기 연주하기를 권유하였다. 새로운 환경에 천천히 적응해 나아가며 다양한 놀잇감이나 사물에 탐색을 해 보이는 모습이 보였다.
-
5. 예술경험미술활동 후 손에 묻는 색연필 자국을 보고 "손에 묻었어요 손 씻고 올게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OO에게 "손 다 씻었니?"라고 묻자 OO가 "잘 안지워져요"라고 말하며 비누를 잡고 문댄다.
-
6. 자연탐구등원한 OO가 색연필 통을 들여다보며 색연필을 하나씩 꺼내 색을 살펴보고 다시 집어넣는다. 반복하며 색연필을 살피던 OO가 빨간색,초록색 색연필을 찾아 손에 쥐고 언어 매트로가 색연필을 살펴보고 손바닥으로 색연필을 굴리고 손가락을 움직여 색연필을 탐색하기도 하고 손가락으로 색연필을 밀어 굴리기도 하며 탐색한다.
-
7. 발달평가게임활동시 승부욕이 강하며 꼭~이기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게임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OO가 표현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비언어적으로 표현하고 익숙한 환경 인쇄물 또는 자신의 얼굴 사진에 반응을 보인다. 미술 재료와 도구로 다양하게 표현해볼 수 있고 일상생활 경험을 상상놀이로 표현해볼 수 있다. OO가 다양한 놀잇감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색연필을 굴리기만 하는 OO와 함께 그림도 그려보고 끼적이기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
-
1. 기본생활기본생활은 개인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개인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기본생활에는 식사, 수면, 개인위생, 건강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본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은 개인의 전반적인 발달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본생활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자립성과 자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2. 신체운동신체운동은 개인의 건강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근력, 유연성, 균형감 등을 향상시키고 심폐기능을 강화하여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킵니다. 또한 신체운동은 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신체운동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평생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 다양한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장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의사소통의사소통은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은 타인과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하고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경청과 공감의 태도를 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4. 사회관계사회관계는 개인의 발달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가족, 친구, 교사 등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개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형성된 사회관계는 이후 성인기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다양한 사회관계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 협력 등의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5. 예술경험예술경험은 개인의 창의성, 감성, 심미성 등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음악, 미술, 연극 등 다양한 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정서적 안정과 자아 표현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예술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으며, 타인과의 소통과 공감 능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다양한 예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장려해야 합니다.
-
6. 자연탐구자연탐구는 개인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여 과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게 합니다. 자연 현상에 대한 관찰과 실험, 탐구 활동은 개인의 지적 발달과 창의성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자연탐구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호기심과 탐구심을 가지고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과학적 방법을 익히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다양한 자연탐구 활동을 제공하고 이를 장려해야 합니다.
-
7. 발달평가발달평가는 개인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발달평가를 통해 개인의 강점과 약점, 발달 수준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 지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정기적인 발달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발달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달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개인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