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심리의 순기능
본 내용은
"
군중심리의 순기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0
문서 내 토픽
  • 1. 군중심리의 탄생
    19세기 유럽과 북미에서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노동자의 파업과 범죄문제가 발생하였고 이것을 계기로 다수의 사람들이 뭉치게 되었다. 이 당시의 군중들은 사회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이에 따라 프랑스에서 최초로 군중심리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는 1895년에 르봉이 '군중심리'라는 책을 출간한 것이다.
  • 2. 군중심리 정의
    군중심리의 사전적 정의는 사회심리 현상의 하나로 여러 사람들이 집단으로 모였을 때 개별 주체의 일상적인 사고와 다르거나 혹은 같더라도 그 범위를 뛰어넘는 행동을 하게 되는 심리 상태를 말한다. 우리조만의 정의는 주변 사람들과 주변 환경에 동조되어 자신의 의지와는 다른 행동을 하거나 혹은 자신의 생각이 군중의 생각으로 쏠려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 3. 군중심리 특성
    군중에게 일시의 동일한 심적 경향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무의식적 특성들로는 무명성, 무책임성, 무비판성, 감정성, 친밀성, 암시성 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군중 속에서 개인은 하나의 대상에 관심이 집중되어 개인의 주체성을 잃으며 감정이 앞서고 판단력이 약화된다.
  • 4. 부정사례 분석: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은 군중심리의 부정적 사례로 꼽힌다. 3S란 Screen(영화), Sports(스포츠), Sex(성)을 일컫는 말로, 이를 통해 대중을 우민화하고 정치적으로 무관심하도록 유도하였다. 이 정책은 군중심리의 무의식적 특성을 이용하여 국민들의 관심을 정치적 문제에서 벗어나게 하고 정권의 정당성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 5. 긍정사례 분석: SNS를 통한 긍정사례
    SNS의 발전과 매체의 다양화는 군중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크림빵 사건, 아이스 버킷 챌린지, 반값등록금 촛불시위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SNS를 통해 군중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사회 변화를 이끌어냈다. 기술의 발전이 군중들의 의식을 깨우고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운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군중심리의 탄생
    군중심리는 개인이 군중 속에 있을 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심리 현상입니다. 군중 속에서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집단의 일부가 되어 감정적으로 동조하게 됩니다. 이러한 군중심리는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적 변화와 혁명의 원동력이 되어왔지만, 때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군중심리의 탄생은 개인의 자아 의식이 약화되고 집단 동조성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군중심리 정의
    군중심리는 개인이 군중 속에 있을 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심리 현상으로, 개인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집단의 일부가 되어 감정적으로 동조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군중심리는 개인의 합리적 판단력을 저하시키고 충동적이고 감정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군중심리는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적 변화와 혁명의 원동력이 되어왔지만, 때로는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군중심리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한 사회적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군중심리 특성
    군중심리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개인의 정체성 약화와 집단 동조성 강화입니다. 군중 속에서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집단의 일부가 되어 감정적으로 동조하게 됩니다. 둘째, 합리적 판단력 저하와 충동적 행동 유발입니다. 군중심리 속에서 개인은 감정적으로 고양되어 충동적이고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게 됩니다. 셋째, 집단 내 동질성 강화와 집단 간 대립 심화입니다. 군중심리는 집단 내부의 동질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집단 간 대립을 심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군중심리의 특성은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적 변화와 혁명의 원동력이 되어왔지만, 때로는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 4. 부정사례 분석: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은 대표적인 부정적 군중심리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스포츠(Sports), 섹스(Sex), 그리고 스캔들(Scandal)을 통해 국민들의 관심을 정치적 문제로부터 돌리고자 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의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집단 동조성을 강화시켜 정권에 유리한 군중심리를 조성하고자 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국민들의 합리적 판단력을 저하시키고 충동적이고 감정적인 행동을 유발하여 결국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였습니다. 이는 군중심리가 부정적으로 작용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5. 긍정사례 분석: SNS를 통한 긍정사례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긍정적인 군중심리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SNS는 개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집단적으로 연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들은 자신의 합리적 판단력을 유지하면서도 집단적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최근 기후변화 대응 운동이나 인권 보호 운동 등에서 SNS를 통한 긍정적인 군중심리가 발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군중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SNS와 같은 새로운 소통 채널을 활용하여 건전한 군중심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