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teomics 중간 레포트입니다.
본 내용은
"
Proteomics 중간 레포트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9
문서 내 토픽
-
1.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Recombinant proteinhEGF는 53개의 아미노산 펩티드로 구성된 단백질로, 세 개의 이황화 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hEGF는 EGFR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증식, 분화, 이동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의 활성화를 포함한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개시합니다. 내인성 농도의 hEGF 생산이 매우 낮기 때문에(50ng/mL), 재조합 DNA 기술을 기반으로 대량의 hEGF를 생산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hEGF 재조합 단백질 생산은 DNA 서열 분리, 클로닝, 발현 세포주에서의 발현 등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식물 기반 시스템인 땅콩 털뿌리 배양 시스템은 높은 생산성, 유전적/생화학적 안정성, 독성 및 환경/규제 문제 감소, 호르몬 자립성, 높은 효율성과 낮은 비용 등의 장점이 있어 hEGF 대량 생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1.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Recombinant protein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is a small protein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cell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recombinant form of this protein has significant therapeutic potential,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wound healing and tissue regeneration. Recombinant hEGF is produced using genetically engineered bacteria or cell lines, allowing for a reliable and scalable source of this important biomolecule. One of the primary applications of recombinant hEGF i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ulcers, pressure sores, and venous leg ulcers. These types of wounds often fail to heal due to impaired growth factor signaling and cellular dysfunction. By topically applying recombinant hEGF,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enhanced wound closure, improved tissue regeneration, and accelerated healing in various animal models and clinical studies. Additionally, recombinant hEGF has shown promise in the treatment of other conditions, such as corneal epithelial defects, radiation-induced skin injuries, and even certain types of cancer. The ability of hEGF to stimulat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makes it a valuable tool in regenerative medicine, where it can be used to promote the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or diseased tissues. The development of recombinant hEGF has also l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growth factor signaling and its role in vari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This knowledge can inform the design of more targeted and effective therap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novel biomaterials and drug delivery systems that can optimize the delivery and efficacy of recombinant hEGF. Overall, the availability of recombinant hEGF represents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the field of wound healing and tissue regeneration, offering new opportunities for improving patient outcom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suffering from chronic or difficult-to-heal wounds.
-
줄기세포란? 5페이지
1. 줄기세포란 무엇인가?1) 줄기세포(Stem cell)란 개체를 구성하는 세포나 조직의 근간이 되는 세포? 이론적으로 ‘체외에서 무한정 증식이 가능하며, 적절한 자극이나 환경이 주어졌을 경우,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로 배아(발생초기 단계의 생물. 사람의 경우에는 임신 7주까지 적용되며 8주째부터는 태아라고 함)줄기세포와 성체 줄기 세포가 있음.2)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란 주로 초기 분열 단계의 배아로부터 채취된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능세포.? 수정 후 ...2009.03.28· 5페이지 -
[생명공학] 생명공학의 기본개념/원리 15페이지
REPORT{교과명대학물리 I담당교수노경철 교수님제출일자2002. 11. 7학과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학번200271112이름박 인 경{목 차1. 생명공학의 기본 개념1) 생명공학 기술의 정의 및 연구영역2)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 역사3) 생명공학 기술의 특징4) 생명공학의 응용분야5) 생명공학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6) 생명공학의 기본이념 이해2. 생명공학의 원리1) 유전자 재 조합 기술2) 형질전환 복제 동물의 생산과정3) PCR3. 생명공학분야의 경제적 가능성1) 국, 내외 바이오 산업의 시장규모2) 우리나라 전반적인 생물산업 기술...2002.11.07·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