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널싱내러티브 실습 과제 (교수님께 칭찬 받은 과제!!!!)
본 내용은
"
응급실 널싱내러티브 실습 과제 (교수님께 칭찬 받은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7
문서 내 토픽
  • 1. 응급실 간호
    변OO (F/78)은 오후 1시 10분경 진주고려병원에서 119 구급차를 타고 Stretcher cart에 실려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대상자가 응급실 도착 즉시 응급실 선별진료소에서 대상자의 의식상태와 전반적인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KTAS 2단계로 분류받아 Resuscitation zone 4번 자리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내원 당시 대상자는 O2 reserve mask 15L/min inhalation 중이었고, mental은 deep drowsy 상태, dyspnea 호소하며 숨 가쁘게 내쉬고 있는 상태였다. 신체 진찰상 Rt hip OP site Hemo Vac, Rt leg EB, Rt. hip 보호대 착용, 2-way 16Fr foley catheter keep 하고 있었으며, Abdominal distension, upper&lower extrimity edema, lip color cyanotic color change 관찰할 수 있었다.
  • 2. 응급 처치
    나는 간호사 선생님을 도와 EKG monitor와 SpO2 센서를 부착하였고, Vital sign 측정 결과 60/40-49-20-36.7 확인되었다. 간호사 선생님은 Vital 결과를 즉시 담당의에게 noti 하고, 의사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일회용 ambu mask 사용하여 O2 15L/min로 ambu-bagging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대상자 Mental이 Coma로 변경되면서 Pupil reflex 8/8(+/+), EKG & SpO2 측정되지 않고, lip & whole body cyanosis check 되어 CPR start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O2 15L/min mask로 ambu-bagging 하면서 epinephrine 1@ IV 주고 3분간 CPR 지속하였으며, S-E tube 7.5mm 사용해 intubation 시행하여 치아에 23cm 고정 후 다시 O2 15L/min inhalation 하면서 ambu-bagging 시작하여 SpO2 72% check 할 수 있었고, intubation oral site로 suction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3. 응급 약물
    ETCO2측정 위해 monitor apply 하여 26mmHg check 되었고, VF check 되어 defibrillation 200J apply 후 CPR 지속하여 5분만에 ROSC 되었으며, N/S 1L full drop과 norpin 16mg fluid 10cc/hr로 infusion 시작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Lt, subclavian C-line catheter insert 하고 ABGA 실시하여 bivon 3@ IV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Lt femoral double lumen catheter insert, Rt. femoral A-line arrow 18G insert 관찰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응급실 간호
    응급실 간호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은 생명이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속하고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응급실 간호사들은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며, 의사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들은 환자와 보호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등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는 전문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적인 배려가 모두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응급 처치
    응급 처치는 생명을 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응급 처치에는 기본적인 심폐소생술, 출혈 제어, 상처 처치, 골절 고정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처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응급 처치 교육은 일반 시민들에게도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응급 처치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보급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응급 약물
    응급 약물은 생명을 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약물 투여는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응급 약물에는 심정지 환자에게 투여하는 에피네프린, 심근경색 환자에게 투여하는 아스피린, 알레르기 반응 환자에게 투여하는 에피네프린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신속한 투여가 필요하며, 투여 시기와 용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응급 약물 사용에 대한 의료진의 전문성과 숙련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응급 약물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