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리와 사상 핵심 요약 정리 서브 노트-한국유교와 인간의 도덕적 심성
본 내용은
"
윤리와 사상 핵심 요약 정리 서브 노트-한국유교와 인간의 도덕적 심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5
문서 내 토픽
-
1. 이황의 이기론이황은 리의 우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와 기를 구별하여 이는 순선하고 기는 가선가악하다고 보았다. 이와 기는 구별되지만 함께 작용한다는 이기불상리 사상을 주장하였다. 이발설을 통해 이(본체)의 작용을 강조하였다.
-
2. 이황의 수양론이황은 거경궁리를 통해 경건한 마음가짐과 태도로 인욕을 없애는 수양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 등이 '경'의 실천방법이다.
-
3. 이이의 이기론이이는 이와 기의 대등한 위치를 강조하였다. 이는 발하는 까닭이자 무위, 무형, 보편성을 지니고, 기는 발하는 것이자 유위, 유형, 특수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기발이승일도설과 이통기국 사상을 전개하였다.
-
4. 이이의 심성론이이는 성과 정을 이와 기의 관계로 설명하였다. 성은 하나이지만 이와 기 중 어느 것을 주로 하느냐에 따라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구분된다. 정도 이와 기 중 어느 것을 주로 하느냐에 따라 사단과 칠정으로 구분된다.
-
5. 정약용의 심성론정약용은 성리학의 심성론과 덕론을 비판하였다. 그는 성을 기호(좋아함)로 보았으며,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영지의 기호와 육체적 욕구인 형구의 기호를 구분하였다. 선과 악은 선택에 따른 책임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
6. 정약용의 덕론정약용은 인의예지를 사덕으로 보았으며, 이는 본성이 아닌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측은지심, 사양지심, 수오지심, 시비지심 등의 단서를 통해 사덕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
1. 이황의 이기론이황의 이기론은 한국 유학의 핵심적인 사상 체계 중 하나입니다. 그는 기(氣)와 리(理)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설명하였습니다. 그에 따르면 리는 기의 근원이자 본체이며, 기는 리의 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기론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수양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제공합니다. 특히 이황은 리와 기의 조화를 통해 인간이 도덕적으로 완성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유학의 핵심 가치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
2. 이황의 수양론이황의 수양론은 그의 이기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는 인간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도덕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수양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수양론의 핵심은 '성(誠)'의 실천입니다. 성은 마음의 본질이자 도덕적 완성의 근거로, 이를 통해 인간은 리와 기의 조화를 이루며 도덕적 주체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이황은 성실한 마음가짐과 꾸준한 실천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유학의 수양론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
3. 이이의 이기론이이의 이기론은 이황의 이기론과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이이는 리와 기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였는데, 리는 무형무위의 본체이고 기는 유형유위의 작용이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그는 기가 리를 발현하는 주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이황의 리 중심적 이기론과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이이의 이기론은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이기론은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실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4. 이이의 심성론이이의 심성론은 그의 이기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마음(心)이 리와 기의 결합체라고 보았습니다. 즉, 마음은 리의 발현이자 기의 작용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인간의 본성(性)을 기호(嗜好)와 욕구로 파악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이황의 성즉리(性卽理) 사상과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이이는 인간의 도덕성 실현을 위해서는 기호와 욕구를 절제하고 조절하는 수양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유학의 수양론에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 정약용의 심성론정약용의 심성론은 기존 유학의 심성론과 차별화된 특징을 보입니다. 그는 인간의 마음(心)을 기호(嗜好)와 욕구의 발현으로 보았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본성(性)을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그는 인간의 본성을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로 규정하였습니다. 이는 이황과 이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과 구별되는 것입니다. 정약용은 인간의 도덕성 실현을 위해서는 자발적인 의지와 실천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그의 심성론은 유학 전통에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였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6. 정약용의 덕론정약용의 덕론은 그의 심성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도덕성 실현을 위해서는 자발적인 의지와 실천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사덕(四德)'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가리킵니다. 정약용은 이러한 사덕이 인간의 기호와 욕구에서 발현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인간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덕적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그의 덕론은 기존 유학의 성즉리 사상과 구별되는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였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