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A+] 심혈관계 해부생리/질환/치료(수술)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A+] 심혈관계 해부생리/질환/치료(수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4
문서 내 토픽
-
1. 심장(heart)심장은 무게 약 300g, 크기 성인 주먹 크기(길이 12.5cm, 폭 7.5cm)로 종격동의 중앙과 횡격막 위, 흉각 왼쪽에 위치합니다. 심장은 약 72회/분, 약 5L/분(70cc/회)의 박동으로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합니다. 심장은 산소가 많은 혈액을 동맥으로 내보내고, 산소포화도가 낮은 혈액은 정맥으로 받아들입니다. 심장은 심낭, 심외막, 심근, 심내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2.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심장은 중격에 의해 우심방과 좌심방, 우심실과 좌심실로 나뉩니다. 동맥혈은 폐 > 폐정맥 > 좌심방 > 승모판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 순으로 순환하고, 정맥혈은 온몸 > 대정맥 > 우심방 > 삼첨판 > 우심실 > 폐동맥 > 폐 순으로 순환합니다.
-
3. 판막(valves)심장에는 방실판막(삼첨판, 승모판)과 반월판막(폐동맥 판막, 대동맥 판막)이 있습니다. 판막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4.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관상동맥은 대동맥의 시작 부위로부터 나와 심근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평균동맥압은 60~70mmHg입니다.
-
5. 혈관 구조와 기능동맥은 심장에서 조직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혈관으로 내막, 중막, 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맥은 중막이 발달하지 않아 탄력성이 적고 외막이 발달되어 혈액을 많이 보유할 수 있습니다. 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의 통로이며 영양분 공급과 노폐물 제거 역할을 합니다.
-
6. 혈액순환체순환과 폐순환으로 구성되며, 미세순환은 모세혈관을 중심으로 한 순환의 일부분입니다.
-
7. 협심증(Angina Pectoris)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서 생기는 병으로, 심장 근육인 심근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져 발생합니다. 증상은 심장부나 흉골 뒤쪽의 조이는 듯한 통증이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 이형성 협심증 등으로 구분됩니다.
-
8.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기거나 경화증으로 인해 순환장애가 발생하여 심근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증상은 흉골부의 격통, 중증감, 구토, 부정맥 등이며 합병증으로 심부전, 폐수종, 부정맥, 심장파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9.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혈관에 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하여 혈관내강이 좁아지고 탄력성을 잃는 병변으로, 노화현상의 일종입니다. 대동맥, 뇌, 심장관상동맥, 신장 등의 혈관에 발생하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
10. 심장판막증(Valvular Heart Disease)심장의 4개 판막(삼첨판, 폐동맥 판막, 승모판, 대동맥 판막) 중 하나 이상이 지속적으로 기능장애를 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염증성 심내막염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며, 협착증과 폐쇄부전증으로 구분됩니다.
-
1. 심장(heart)심장은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켜 우리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네 개의 방(심방과 심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방들은 판막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건강을 유지하고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은 우리 몸의 생명줄과도 같은 기관이므로, 심장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
2.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심장은 크게 심방과 심실로 구분됩니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고, 심실은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심방과 심실은 판막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합니다. 심방과 심실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질환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심방 세동은 심방의 불규칙한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질환입니다. 따라서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합니다.
-
3. 판막(valves)심장에는 4개의 주요 판막이 있습니다. 이 판막들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판막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판막 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져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고, 판막 역류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판막 질환은 심장 기능을 저하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판막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4.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관상순환은 심장 자체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 체계입니다.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혈관입니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심장 근육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상순환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건강을 유지하고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관상순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장 건강을 위한 적절한 생활습관과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5. 혈관 구조와 기능혈관은 심장에서 나와 우리 몸 전체로 혈액을 운반하는 통로입니다. 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구조와 기능이 다릅니다. 동맥은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역할을, 정맥은 혈액을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모세혈관은 조직과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혈액순환 및 심장 건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혈관 질환, 예를 들어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증 등은 혈관 구조와 기능의 문제에서 비롯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
6. 혈액순환혈액순환은 심장이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고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 몸의 모든 세포와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고 노폐물이 제거됩니다.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혈관 좁아짐은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심장 질환이나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순환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이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7. 협심증(Angina Pectoris)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가슴 통증, 숨 가쁨,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협심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협심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스트레스 관리,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협심증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심장 건강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8.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하는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이 손상되고 기능이 저하됩니다. 심근경색은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 숨 가쁨, 구토, 어지러움 등이 나타납니다. 심근경색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정기 건강검진, 위험 요인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심근경색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심장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
9.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동맥경화증은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경화되어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등의 생활습관 요인입니다. 따라서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중요합니다. 또한 동맥경화증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동맥경화증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심장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
10. 심장판막증(Valvular Heart Disease)심장판막증은 심장 판막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판막이 좁아지거나(협착증) 제대로 닫히지 않아(역류증)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심장 기능이 저하되고 심부전, 부정맥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요인, 류마티스열, 감염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피로감, 부종 등이 나타납니다. 심장판막증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판막 수술, 약물 치료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심장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
A+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스터디, 정의, 원인, 증상, GCS 사정,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 관류, 객담 자가 배출 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진단3개, 과정2개 36페이지
성인간호학 ⅢCase StudySubarachnoid hemorrhage수강과목 : 성인간호학 3실습지 :학번 :이름 :목차Ⅰ. 문헌고찰Ⅱ. 간호사정⇒ 욕창발생보고/ 중환자실 환자군 분류/ 수술 기록지/ 활력징후/ GCS/ I/O/ 진단검사결과/ 영상의학부(방사선) 검사 및 임상기능 검사/ 대상자 약물치료 현황Ⅲ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이유Ⅳ 간호진단⇒ 목표, 계획, 중재, 평가Ⅴ 대상자 선정이유 및 소감Ⅵ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정의1) 지주막먼저 사람의 해부학적 뇌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자면, 뇌의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2024.10.03· 36페이지 -
A+ 폐렴(pneamonia) 간호과정 25페이지
임상실습 사례보고서 양식-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실습 기관 : 00병원 MICU실습 기간 : 2023.03.13.~2023.03.24제 출 자 : 000학 번 : 0000000제 출 일 : 2023.03.23담당교수 : 000부천대학교 간호학과문헌고찰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2. 질환의 병태생리3. 질환과 관련된 증상4. 질환과 관련된 진단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문헌고찰 _ Pneumonia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가슴우리 안에 들어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성인의 경우 약 500~600...2024.04.12· 25페이지 -
자연분만 NSVD 간호과정 문헌고찰 A+ 21페이지
Ⅰ. 서론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1.연구의 목적박○○님은 6월4일, PM 11시40분에 진통이 발생하여 00병원에 입원하였다. 그래서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에 대해 조사하고 지식을 습득하여 이론적으로 배운 간호를 실질적으로 임상에서 적용해보고자 박○○님의 정상 자연질식분만의 사례를 연구해보았다.2. 연구기간 및 방법6월 4일부터 6월8일까지 00병원 DR에 계신 박○○님을 매 활력징후 측정시 또는 틈틈이 찾아가서 대상자를 관찰하고 문헌고찰과 차트, Dr.order 등의 자료를 ...2023.09.28· 21페이지 -
여성간호학-자궁근종 간호과정 A+ 간호진단4개 간호과정4개 39페이지
◈ 목 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Ⅱ. 문헌고찰1. 자궁근종 병태생리(1)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 2(2) 자궁 주위의 장기들 2(3) 자궁의 기능 2(4) 자궁근종 종류 3(5) 자궁근종의 원인 3(6) 자궁근종 증상 4(7) 진단 및 검사 4(8) 진단 및 검사 5(9) 치료 6(10) 합병증 9(11) 위험요인 및 예방 9Ⅲ. 사례연구1. 대상자 케이스 사정 자료 8(1) General Data 8(2) Data Regarding Mother and Familly 8(3) Lab Data 11(4) Medica...2024.11.30· 39페이지 -
A++성인간호학실습 Aspiration pneumonia 폐렴 case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28페이지
[Aspiration pneumonia]A++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3개이론적근거포함치료적계획ㅇ, 교육적계획ㅇ, 진단적계획 ㅇ목 차Ⅰ. 문헌고찰1. 해당 장기의 해부 생리 : 폐2. 질환의 증상 및 징후3. 질환과 관련된 약물 및 관련 간호4. 검사 및 처치 전, 후 간호5. 질환에 따른 환자 간호Ⅱ. 간호정보조사지Ⅲ. 진단검사 결과 기록지1. Hematology2. Urinalysis3. Blood Chemistry4. ABGA5. 기타 혈액 검사6. 기타 진단 검사Ⅳ. 약물조사 기록지V. 간호과정# 1. 과...2023.09.13· 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