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형외과 병동 보조기 컨퍼런스
본 내용은
"
정형외과 병동 보조기 컨퍼런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7
문서 내 토픽
-
1. 보조기의 정의보조기는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신체기관을 대체하는 경우 의지(의족, 의수)라고 한다.
-
2. 보조기의 목적보조기의 주요 목적은 관절 고정 및 변형 방지, 교정, 체중부하 방지, 이차적 손상 방지, 통증 경감 등이다.
-
3. Splint & Cast 적응증Splint(부목)은 상처, 부종, 염좌, 통증 등으로 Cast 적용이 어려울 때 단기간 고정에 사용되며, Cast(통기 브스)는 상처가 다 나은 수술부위에 지속적인 고정이 필요할 때 장기간 및 단단한 고정에 사용된다.
-
4. 경추 보조기경추 보조기에는 soft collar brace, thomas collar brace, philadelphia brace 등이 있으며, 경추부 염좌, 경추부 동통 및 신경근 압박, 경추 추간판 탈출증 등에 사용된다.
-
5. 척추 보조기척추 보조기에는 back brace, TLSO, LSO 등이 있으며, 요추 압박 골절, 허리디스크, 척추관절 보호, 약한 근육 보호, 기형 예방 등에 사용된다.
-
6. 상지 보조기상지 보조기에는 SAS, LAS, ulna gutter splint, sugartong splint, thumb spica splint, velpeau band, K-sling 등이 있으며, 손목골절, 팔꿈치 골절, 탈구, 회전근개 파열 등에 사용된다.
-
7. 하지 보조기하지 보조기에는 cylinder splint, SLS, LLS, ACL brace, PCL brace, MCL brace 등이 있으며, 슬개골 골절, 발목 골절, 인대 손상, 십자인대 파열 등에 사용된다.
-
1. 보조기의 정의보조기는 신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기입니다. 보조기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지지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하여 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한 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회복을 돕습니다. 보조기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되며,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됩니다. 보조기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독립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보조기의 목적보조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신체 기능 보조 및 보호입니다. 보조기는 약화된 근육이나 관절을 지지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하여 기능 회복을 돕습니다. 둘째, 통증 감소입니다. 보조기는 관절이나 근육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셋째, 재활 및 기능 향상입니다. 보조기는 환자의 재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능 향상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넷째, 예방입니다. 보조기는 부상이나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보조기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의료 기기입니다.
-
3. Splint & Cast 적응증Splint와 Cast는 골절, 탈구, 인대 손상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기입니다. Splint는 주로 급성기 치료에 사용되며,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통증을 줄이고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Cast는 골절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골절된 부위를 고정하여 정렬을 유지하고 치유를 돕습니다.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골절: 단순 골절, 복합 골절, 개방성 골절 등 / 탈구: 관절 탈구 / 인대 손상: 염좌, 파열 등 / 기타: 화상, 동상, 감염 등 Splint와 Cast는 환자의 상태와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며,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사용되어야 합니다.
-
4. 경추 보조기경추 보조기는 목 부위의 부상이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입니다.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추 골절
-
A+ 요골골절(ulna Fx) 성인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2개(급성통증, 피부통합성 장애) 20페이지
Repport학교 마크 사진 첨부성인간호학 컨퍼런스[문헌고찰: 요골골절(Ulna Fx.)]0000대학교 간호학과 학번 이름Ⅰ. CASE 선정이유와 문헌고찰Ⅱ. 간호 과정1. 간호 사정1) 간호 사정2) 입원 관련 정보 및 간호력3) 기본 사정4) 검사5) 약물6) V/S7) 수술 및 치료적 시술2. 간호 과정Ⅰ. CASE 선정이유와 문헌고찰영남대학교병원 62병동은 정형외과와 재활의학과로 이루어진 병동으로 주로 골절 및 관절과 관련하여 다양한 환자분들을 접할 수 있었는데, 내가 선택한 case의 대상자와 같은 경우에는 자뼈 골절로 뼈...2023.12.26· 20페이지 -
[A 받은 자료] 간호관리학 컨퍼런스 / 케이스스터디 / casestudy 12페이지
Ⅰ. 실습내용보고서1. 간호단위의 목표와 구조, 병상 수, 환자현황 파악① 간호단위의 목표와 구조간호단위의 목표?조직의 직책에 따라 업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한다.?효율적인 인사모형에 의하여 간호요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한다.?환자분류의 기준에 따라 환자 중심방법과 기능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다.?최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무교육을 계획하고 간호부직원의 개발을 위한계속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환자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 심리적, 영적 요구를 가진 인간으로 이해하고 최상의 전인간호를 제공한다.?환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를 ...2019.07.07· 12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정형외과 병동 당뇨발 (DM foot) 12페이지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실습병원실습병동정형외과 (OS)실습날짜지도교수학번/이름컨퍼런스목차Ⅰ. 서론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관계 문헌의 개요Ⅱ. 본론1. 간호사정1) 주관적 자료(1) 개인정보(2) 기본 욕구 사정(3) 현재 건강력 사정(4) 과거 건강력 사정2) 객관적 자료(1) 신체 검진(2) 검사소견(3) 의학적 치료계획내과적 치료(식이요법, 약물요법 등)외과적 치료특수 치료 요법2. 진행기록 (입원시부터 간호과정 전까지 작성)3. Problem List4. 간호진단5. 간호과정 적용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2016.07.14·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