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TM 원리, 특성 및 프로토콜 구조
본 내용은
"
ATM원리, 특성 및 프로토콜 구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ATM의 정의, 원리와 특성ATM은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약자로, 데이터의 전송방식은 비동기전송방식이다. 53bytes의 셀(Cell)을 기본단위로 하는 패킷교환방식(Packet switch network)의 한 형태이다. 비동기 전송방식은 셀이라 부르는 고정 길이 패킷을 이용하여 처리가 단순하고 고속망에 적합하다.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과 같이 고정 비트레이트 (CBR)의 처리와 압축 비디오 신호와 같이 가변 비트레이트 (VBR)의 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
2. ATM의 역사오늘날 대부분의 사람이 화상채팅, 인터넷폰 또는 각 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즉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케이블모뎀 등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마다 서비스망이 설치가되고 서비스들의 통합화, 고속화, 대용량화가 만들어지면서, 가파른 속도로 상승하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고속의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 필요하게 되면서 ATM이라는 교환기술이 만들어졌다.
-
3. ATM의 장점ATM 방식은 비동기식 전송 방식을 말하는데, 이는 채널이 구분되어 있고, 여분의 대역폭이 남더라도 미리 할당되어 있어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동기식 전송 방식과는 다르게, 여분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서 채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TM 방식은 하나의 물리적인 회선을 논리적인 가상회선으로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망 구축을 할 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간 음성 통신이나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서비스들을 통합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다.
-
4. ATM 프로토콜ATM 프로토콜의 구조는 OSI 계층 모델을 따르며 기존의 N-ISDN 프로토콜의 구조를 확장해서 정의하고 있다. 각 계층은 각각 고유의 기능을 가지며 어떤 임의의 계층 서비스는 바로 밑의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현되며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물리계층, ATM 계층, ATM 적응계층으로 구성되는 부분을 하위계층이라고 한다. ATM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는 물리계층, ATM 계층, AAL 계층, 응용 계층으로 되어있다.
-
1. ATM의 정의, 원리와 특성ATM(Automated Teller Machine)은 은행 고객이 직접 은행에 가지 않고도 현금 입출금, 계좌 조회, 송금 등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기기입니다. ATM의 원리는 사용자가 카드를 삽입하고 PIN 번호를 입력하면 은행 시스템과 연동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ATM의 주요 특성으로는 24시간 365일 무휴 운영, 신속한 거래 처리, 편리성, 보안성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2. ATM의 역사ATM의 역사는 196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영국의 바클레이즈 은행이 세계 최초로 ATM을 개발하여 도입했습니다. 이후 1970년대에 들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ATM이 보편화되기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ATM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고, 1990년대에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뱅킹과 연계된 ATM 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술과 결합된 스마트 ATM이 등장하는 등 ATM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3. ATM의 장점ATM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24시간 365일 무휴 운영으로 고객의 편의성이 높습니다. 둘째, 은행 창구에 비해 신속한 거래 처리가 가능합니다. 셋째, 현금 입출금, 계좌 조회, 송금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넷째, 은행 직원과의 대면 없이 거래가 가능해 프라이버시가 보장됩니다. 다섯째, 보안 기술 발달로 거래의 안전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ATM은 현대 금융 서비스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
4. ATM 프로토콜ATM 프로토콜은 ATM과 은행 시스템 간의 통신 규약을 정의한 것입니다. 주요 프로토콜로는 ISO 8583, EMV, NCR NDC 등이 있습니다. ISO 8583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카드 거래 메시지 형식, 거래 승인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EMV 프로토콜은 칩 카드 거래를 위한 표준으로, 보안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NCR NDC 프로토콜은 ATM 제조사 NCR 사의 독자적인 프로토콜입니다. 이러한 ATM 프로토콜은 ATM 시스템의 안정성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ATM 원리와 특성 그리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7페이지
ATM 원리와 특성 그리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과목: 데이터통신학번:성명:1.ATM 등장배경가정 및 지역사회 등을 비롯하여 곳곳에 통신, 가전제품, 컴퓨터 등에서 음성대화, 화상, 동영상의 여러 형태의 정보를 조합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기술과 고성능 프로세서 등의 관련 기술들이 함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파일이나 주변기기 등에 고속성, 확장성, 유연성, 효율성의 요구조건을 갖춘 차세대 LAN의 필요성이 ...2022.03.18· 7페이지 -
ATM 원리와 특성 그리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0페이지
데이터통신ATM 원리와 특성 그리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ATM의 정의와 특성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전송방식)은 데이터의 전송방식이 비동기식임을 의미하며, 53bytes의 셀(Cell)을 기본단위로 하는 패킷교환방식의 한 형태입니다.ATM 방식은 초고속 통신망 스위칭 기술로 사용이 점점 더 확산되어 가고 있다. ATM 통신 방식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신용카드 번호와 비밀번호, 기업 간 사업 관련한 정보들, 병원에서의 진료기록 같은 민감한 정...2020.09.21· 10페이지 -
[데이터통신] ATM 원리와 특성, 프로토콜 구조 7페이지
[2019-2학기 과제]데이터통신 과제ATM 원리와 특성, 프로토콜 구조과목명 : 데이터통신학번 : ㅇㅇㅇ이름 : ㅇㅇㅇ1. ATM의 개념과 원리ATM 방식은 초고속 통신망 스위칭 기술로 사용이 점점 더 확산되어 가고 있다. ATM 통신 방식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신용카드 번호와 비밀번호, 기업 간 사업 관련한 정보들, 병원에서의 진료기록 같은 민감한 정보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함께 전송되는 중요한 정보에 대한 비밀을 보장해 주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2020.05.18· 7페이지 -
ATM 개요 및 현장 사례_1 27페이지
..PAGE:1ATM(비동기 전송 방식)*..PAGE:2*ATM 등장배경ATM 프로토콜 구조/특징ATM 동작과정(원리)ATM 정의IIIIIIIV목 차ATM 현장 적용사례/전망V역할 분담VI*..PAGE:3ATM 정의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송모드)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해 순서대로 원하는 전송 시점에서만 동적으로 전송셀이라 부르는 고정 길이 (53 BYTE) 패킷을 이용음성영상·데이터 traffic 전부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보내는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술가상채널(Virtual Chann...2011.04.26· 27페이지 -
네트워크의 방식 15페이지
네트워크 방식- 목 차 -□ 네트워크1. 네트워크 형태2. 네트워크 이점3. 자원의 공유□ 이더넷 (Ethernet)1. 역사2. 토폴로지3. 전송원리4. 10 BASE-T□ FDDI 근거리 통신망1. FDDI 개요(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2. FDDI 네트워크3. FDDI의 프로토콜 구조4. MAC 프레임 구조5. 용량 할당(Capacity allocation)6. 링 감독(Ring Monitoring)7. FDDI 네트워크 구성8. SMT(스테이션관리 : Station Management)□ ...2008.06.01·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