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교원실습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강의참관일지 고급2
본 내용은
"
한국어교원실습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강의참관일지 고급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5
문서 내 토픽
-
1. 한국어 표현수업에서는 한국어 표현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특히 '우리남편', '부부 싸움은 칼로 물 베기', '일부다처제', '공유', '공동체의식', '뭉쳐 다니다', '배타주의', '소외감' 등의 표현을 다루었고, 외국인 학습자인 로버트가 이상하게 생각하는 한국어 표현에 대해 민서가 어떻게 설명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
2. 장학금 지급 기준수업에서는 장학금 지급 기준에 대한 토론이 있었습니다. 장학금을 누구에게 줄 것인지, 그 근거로 '장유유서'와 '온정주의'가 언급되었습니다.
-
3. 토론 시 억양수업에서는 토론할 때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하기 위해 '-데요'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 때는 문장 끝을 올리는 억양으로 말한다는 점을 다루었습니다. 토론은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말하기이므로 문장 끝을 올려 나의 의견을 반박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
1. 한국어 표현한국어 표현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한 언어입니다. 한국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존댓말을 사용하고, 친밀한 상황에서는 반말을 사용하는 등 상황에 맞는 언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한국어에는 미묘한 뉘앙스와 함축적인 의미를 가진 표현들이 많아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어 표현의 다양성과 풍부함은 한국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익히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장학금 지급 기준장학금 지급 기준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장학금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지원책입니다. 따라서 장학금 지급 기준은 공정성, 투명성, 그리고 학생들의 실질적인 필요를 반영해야 합니다. 성적, 가정 환경, 경제적 상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진정으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장학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장학금 지급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학생들의 신뢰를 얻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장학금 제도가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토론 시 억양토론 시 적절한 억양 사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억양은 말하는 사람의 감정과 태도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강한 어조와 높은 억양은 주장이나 강조를 나타내고, 부드러운 억양은 공감과 이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론 상황에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상호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억양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억양은 말의 명확성과 설득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토론 참여자들은 상황에 맞는 억양을 구사하여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토론의 생산성과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