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탈출(Umbilical cord prolapse) 사례보고서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 사례보고서 (제대탈출_Umbilical cord prolaps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제대탈출(Umbilical cord prolapse)
    제대탈출(cord prolapse)이란 아두만출 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 내려온 것을 말한다. 제대탈출은 파막 후 제대가 중력에 의해 선진부 앞으로 내려오는 제대탈출이 가장 흔한 양상이며, 파막 전, 후 진통 중에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 제대탈출의 원인으로는 복합태위, 선진부가 골반으로 진입하기 전 양막파열, 견갑위나 족위, 출생 시 저체중, 이전 5번 이상 분만 경험, 다태임부, 양수과다증, 진입되지 않은 선진부, 산과적 시술, 긴 제대 등이 있다. 제대탈출의 증상으로는 질강으로 제대가 보이고, 질이나 경부에서 제대가 촉지되며, 파막되면서 흘러나온 제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태아에게 혈액공급이 차단되면서 태아가 질식되어 심박동의 변화가 온다. 제대탈출의 합병증으로는 태아의 사망률이 40%에 달하며, 장기적으로 신생아에게 1% 미만이 주요 신경학적 장애를 겪고, 1% 미만이 뇌성마비 진단을 받는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제대탈출(Umbilical cord prolapse)
    제대탈출은 임신 중 드물게 발생하는 산과적 응급 상황으로,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제대가 자궁경부를 통해 나오면서 태아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태아가 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제대탈출이 의심되면 즉시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태아를 신속히 분만시켜야 합니다. 또한 제대를 압박하지 않고 태아의 머리를 들어올려 제대의 압박을 해소하는 등의 응급 처치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태아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제대탈출은 드물지만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산모와 의료진 모두가 이에 대한 대응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