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고시 정신간호 약물 정리 요약
본 내용은
"
국가고시 정신간호 약물 정리 요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7
문서 내 토픽
-
1. 항우울제항우울제는 catecholamine와 serotonin을 증가시키지만 dopamine은 감소시킨다. Tricyclics(TCA)인 imipramine과 clomiprmine은 자살 위험이 높은 우울증 환자에게 부적절하며 기립성 저혈압과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다. SSRIs인 fluoxetine(prozac), sertraline, fluvoxamine은 세로토닌 농도를 상승시킨다. MAOIs인 moclobemide와 hydrazide는 티라민 함유 음식과 함께 복용 시 고혈압성 위기를 유발할 수 있다.
-
2. 기분안정제(항조증약물)기분안정제는 catecholamine, serotonin, dopamine을 모두 증가시킨다. Lithium은 혈중 농도가 0.6-1.2 이상일 경우 독성 작용이 나타나며 장기간 사용 시 갑상선 비대가 발생할 수 있다.
-
3. 항불안제benzodiazepine 계열의 항불안제로는 chlordiazepoxide, diazepam, clonazepam, lorazepam, alprazolam(파킨슨) 등이 있다.
-
4. 항정신병약물정형(비선택적) 항정신병약물로는 chlorpromazine, haloperidol, pimozide 등이 있으며 추체외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비정형(선택적) 항정신병약물로는 clozapine, olanzapine, quetiapine, aripiprazole, risperidone, ziprasidone, amisulpiride, sulpiride 등이 있으며 양성 및 음성 증상에 모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으로 무과립구증, 체중 증가, 성기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5. 알코올알코올 중독 치료제로는 acamprosate, disulfiram(혐오요법)이 있다. 알코올 관련 신경인지장애로는 베르니케 증후군(티아민 결핍)과 코르사코프 증후군(만성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영구적으로 지속)이 있다.
-
6. 아편중독아편중독 치료제로는 methadone이 있으며 금단 증상을 억제한다.
-
7. 불면치료 수면제benzodiazepine 계열과 zolpidem이 불면증 치료에 사용된다.
-
1. 항우울제항우울제는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우울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의존성, 금단증상,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이나 의존성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부작용과 의존성 문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기분안정제(항조증약물)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극단적인 기분 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체중 증가, 갑상선 기능 저하, 신장 및 간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부작용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항불안제항불안제는 불안 장애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불안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의존성, 기억력 저하, 졸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항불안제는 불안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의존성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가
-
정신간호학 요약정리본(노인정신간호, 약물치료, 신체치료, 정신치료, 활동치료, 환경치료, 가족치료, 정신과적 응급, 자살예방과 간호, 위기 및 재난간호, 취약집단 간호)/중요한 내용 위주로 정리해놓은 것으로 국가고시, 중간/기말고사 준비 모두 유용한 자료입니다! 17페이지
1. 불안장애1) 유병률: 신경인지장애의 2배, 주요 우울 장애의 4~8배2) 범불안장애: 노인에게 가장 흔한 불안장애/낙상에 대한 공포 불안2. 우울장애1) 정동(불쾌감, 피로)/인지(기억력 저하, 편집증)/행동(불면증, 에너지 저하)/신체 증상(근육통, 두통)2) 신경인지장애와 섬망과의 구별 필수3. 자살1) 위험요인: 최근의 개인적 상실(1년 이내 배우자 사망)2) 수동적 자살: 투약 거부, 무모한 운전 등3) 자살 사정: 노인의 자살 성공률은 1:14. 조현병>환각과 망상이 흔하지 않음/무감동과 언어의 빈곤이 흔함5. 망상장...2022.12.21· 17페이지 -
전공 역량을 드러내는 의학, 보건 동아리활동 생활기록부 특기사항 예시 세특 17페이지
동아리에서 했던 활동들중 느낀점 및 발전했던점 그 이외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노력했던점을 쓰시오. 활동별로 나누어서 느낀점을 적을것동아리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과 한 업적에 대해 쓰시오.ex)총무/ 동아리장 등등동아리 내용의대 면접 대비를 하며 의대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능력 등을 조사하며 앞으로 어떻게 생기부를 준비하고 어떤 활동과 경험을 쌓으면 좋은지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동아리에서 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원할이 운영될 수 있도록 성실히 임했다동아리의 유인물 담당자로서 매시간 시작할때마다 유인물을 나눠주...2023.09.04· 17페이지 -
지역사회 간호학 학교간호 요약정리 9페이지
지역사회간호학 4-1학기Community Health Nursing10장. 학교간호*** 목차1지역사회 간호학 학교간호 요약정리.hwp1절. 학교보건의 이해2절. 학생 건강관리3절. 학교 보건실 운영1절. 학교보건의 이해① 학교보건의 개념1) 학교보건의 목적- 학생과 교직원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질병을 예방, 건강 보호, 유지, 증진함- 학생들에게 건강 관련 지식,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건강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줌-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여건을 건강하게 조성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최대한 ...2021.07.18· 9페이지 -
[성인간호학] 퇴행성 질환 [중증 근무력증 (MG, Myasthenia Gravis)] 자료조사, 요약정리, 문헌고찰, 교과서(교재, 필기) 정리 [과제(레포트) 자료조사 시, 시험 대비 자료] 4페이지
4. ★ 중증 근무력증 (MG : Myasthenia Gravis) : 하행성 운동마비? 근육이 약해져 피곤함- 정의⑴ 수의근을 침범하는 만성 신경근성 자가면역질환 ? [근육 약화]? 스스로 조절하는 근육⑵ 근육 사용하면 근 쇠약이 악화, 휴식을 취하면 회복⑶ 악화기와 완화기 반복- 원인 및 병태생리⑴ ★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 형성? 말초신경계 : ★ [근수축]★ [항체]가 신경근 접합부에 있는 ★ acetylcholine 수용체 공격 ? acetylcholine 수용체 수 20% 감소?근 수축 방해⑶ 보통 서서히 진...2022.11.14· 4페이지 -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시간계획표 6페이지
국가 고시 대비 시간표 계획하기--------------------------------------------------------------------------------------------------------------1. 서론1) 간호사 국가 고시 출제 범위…22) 간호사 국가 고시 시험시간표…22. 본론1) 월별 목표…32) 주별 & 일별 계획표…3(붙임) …53. 결론…64. 참고…61. 서론1) 간호사 국가 고시 출제 범위1. 산소화요구2. 영양요구3. 배설요구4. 활동과 운동요구5. 안위요구6. 안전요구7. 욕창 ...2016.10.18·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