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고시 정신간호 약물 정리 요약
본 내용은
"
국가고시 정신간호 약물 정리 요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7
문서 내 토픽
  • 1.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catecholamine와 serotonin을 증가시키지만 dopamine은 감소시킨다. Tricyclics(TCA)인 imipramine과 clomiprmine은 자살 위험이 높은 우울증 환자에게 부적절하며 기립성 저혈압과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다. SSRIs인 fluoxetine(prozac), sertraline, fluvoxamine은 세로토닌 농도를 상승시킨다. MAOIs인 moclobemide와 hydrazide는 티라민 함유 음식과 함께 복용 시 고혈압성 위기를 유발할 수 있다.
  • 2. 기분안정제(항조증약물)
    기분안정제는 catecholamine, serotonin, dopamine을 모두 증가시킨다. Lithium은 혈중 농도가 0.6-1.2 이상일 경우 독성 작용이 나타나며 장기간 사용 시 갑상선 비대가 발생할 수 있다.
  • 3. 항불안제
    benzodiazepine 계열의 항불안제로는 chlordiazepoxide, diazepam, clonazepam, lorazepam, alprazolam(파킨슨) 등이 있다.
  • 4. 항정신병약물
    정형(비선택적) 항정신병약물로는 chlorpromazine, haloperidol, pimozide 등이 있으며 추체외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비정형(선택적) 항정신병약물로는 clozapine, olanzapine, quetiapine, aripiprazole, risperidone, ziprasidone, amisulpiride, sulpiride 등이 있으며 양성 및 음성 증상에 모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으로 무과립구증, 체중 증가, 성기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5. 알코올
    알코올 중독 치료제로는 acamprosate, disulfiram(혐오요법)이 있다. 알코올 관련 신경인지장애로는 베르니케 증후군(티아민 결핍)과 코르사코프 증후군(만성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영구적으로 지속)이 있다.
  • 6. 아편중독
    아편중독 치료제로는 methadone이 있으며 금단 증상을 억제한다.
  • 7. 불면치료 수면제
    benzodiazepine 계열과 zolpidem이 불면증 치료에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우울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의존성, 금단증상,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이나 의존성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부작용과 의존성 문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기분안정제(항조증약물)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극단적인 기분 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체중 증가, 갑상선 기능 저하, 신장 및 간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부작용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항불안제
    항불안제는 불안 장애 등의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불안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의존성, 기억력 저하, 졸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항불안제는 불안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의존성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가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