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건축 사례조사-젠자임 센터
본 내용은
"
친환경건축 사례조사-젠자임 센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0
문서 내 토픽
-
1. 자연 채광 시스템건물 내부로 최대한 햇빛이 전해지고, 천연 채광의 비율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지붕의 solar-tracking mirrors 설치, 아트리움 북쪽의 일광 반사 장치, 아트리움 남쪽의 고정 거울, 천창의 루버 설치, 아트리움 내 샹들리에로 빛을 분산시키는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
2. 조명 시스템전면 유리로 된 파사드와 채광창 위의 태양광선 추적 거울을 통해 태양광선을 활용하고, 조명 센서가 감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등 전기 절약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작업공간의 75%에 충분한 자연채광을 공급하고 있다.
-
3. 아트리움커다란 공기 순환 덕트와 채광통로 역할을 하는 아트리움은 천정의 창살을 통해 들어오는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배기팬을 통해 다시 밖으로 내보내어 자연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18개의 실내정원과 접근가능한 외부 patios가 있어 자연환경과의 연결통로가 된다.
-
4. 고기능성 커튼월 창호 시스템전체 건물외피의 1/3을 차지하는 환기 가능한 1.2m 폭의 중공층을 가진 이중외피 시스템이다. 중공층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여름철 일사를 차단하고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며, 12층까지 조작 가능한 창문이 있어 건물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밤에 선선한 공기로 건물을 식힐 수 있다. 또한 외벽의 32% 이상이 환풍구로 구성되어 여름철 태양열이 내부로 들어오기 전에 열을 막아 환풍구를 통해 다시 밖으로 보내고, 겨울철에는 태양열을 가두어 더블스킨 사이의 공간을 데워 열손실을 줄인다.
-
5. 에너지 절감 시스템다양한 에너지 절약 시스템의 채택으로 총 에너지의 41%를 절감할 수 있었다. 지붕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최대 20kw의 전력을 생산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도 이루어졌다.
-
1. 자연 채광 시스템자연 채광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조명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창문, 천창, 광선반 등 다양한 자연 채광 기술을 활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양과 질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 조명 사용을 줄이고 실내 온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광은 실내 공간의 심리적 쾌적성을 높이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연 채광 시스템은 지속가능한 건축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조명 시스템건물의 조명 시스템은 에너지 사용과 실내 환경의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LED 조명, 센서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자연 채광과의 연계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실내 조도와 분위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LED 조명은 기존 조명 대비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고 수명이 길어 지속가능한 조명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센서와 제어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조명을 최적화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첨단 조명 기술의 적용은 건물의 에너지 성능과 실내 환경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아트리움아트리움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개방형 공간으로, 자연 채광과 자연 환기를 통해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높이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트리움은 실내 공간에 자연광을 유입하고 공기 순환을 촉진하여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트리움은 건물 내부의 시각적 개방감과 심리적 안락감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트리움은 건물의 에너지 성능과 실내 환경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미적 가치와 상징성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고기능성 커튼월 창호 시스템고기능성 커튼월 창호 시스템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과 실내 환경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열성능, 기밀성, 차음성 등이 우수한 고성능 창호 시스템을 통해 건물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실내 온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창호의 투과율, 반사율, 차폐성 등을 최적화하여 자연 채광과 일사 조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고기능성 창호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시각적 개방감과 심리적 안락감을 높여 거주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기능성 커튼월 창호 시스템은 지속가능한 건축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에너지 절감 시스템건물의 에너지 절감 시스템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효율 설비 기술,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에너지 관리 및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을 통해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지열,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의 도입은 건물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관리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의 적용은 건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국내외 친환경건축 사례조사 6페이지
프로젝트 레포트-국외 친환경 건축사례 및 친환경 기법에 대한 분석 및 조사-과목제출일자학번성명Project ReprotGenzyme Center젠자임 빌딩은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cironmental Design)등급 최고등급인 Platinum 등급을 받은 건축물로써 기존의 보편적 건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42% 낮은 양의 에너지와 34% 낮은 양의 수자원을 사용하는 그린 빌딩이다.연구소 건물과 저명한 생물 공학 회사의 개인 개발자인 두명의 의뢰인이 부탁하여 건축하였으며, 약 920명을 수용하며...2019.06.04· 6페이지 -
[지속가능한건축]지속가능한 건축이란 무엇인가? 22페이지
지속가능한 건축이란 무엇인가?제출일자 :담당교수 :분 반 :학 과 :학 번 :이 름 :-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 지속가능한 건축이란?1.1 지속가능한 개발1.2 지속가능성의 정의1.3 지속가능한 건축의 목표2. 지속가능한 건축 디자인 적용2.1 적용방향2.2 적용방법3. 지속가능한 건축의 사례3.1 친환경적인 재개발 단지: 베드제드(BedZED)3.2 Hearst Headquarters?Tower3.3 Genzyme Center (젠자임 제너럴 본사)3.4 Bahrain World Trade Center (바레인 세계 무역...2009.07.01· 2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