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VA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 변화 관찰
본 내용은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2. PVA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 변화 관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6
문서 내 토픽
-
1. PLGA 나노 입자이번 실험은 W/O/W double emulsion method를 통해 methylene blue가 봉입된 PLGA 나노 입자를 만들고, PVA의 농도에 따른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DLS 측정 결과, PVA 농도가 1%에서 5%로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PVA 농도가 높아질수록 입자들 간의 반발력이 커져 응집현상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1. PLGA 나노 입자PLGA(Poly(lactic-co-glycolic acid))는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로, 약물 전달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LGA 나노 입자는 약물의 용해도, 안정성, 표적화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PLGA 나노 입자는 다양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입자 크기, 표면 특성, 약물 로딩 효율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체내 동태 및 약효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PLGA는 생체 내에서 가수분해되어 무독성의 젖산과 글리콜산으로 분해되므로 안전성이 높습니다. PLGA 나노 입자는 암, 염증, 감염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암 치료의 경우 종양 세포 표적화, 약물 방출 조절, 약물 내성 극복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백신 전달, 유전자 전달,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PLGA 나노 입자의 활용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향후 PLGA 나노 입자 기술의 발전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이 기대됩니다. 또한 다양한 질환 치료와 진단에 PLGA 나노 입자가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