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LGA 나노 입자의 합성과 수용성 약물 봉입 방법
본 내용은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1. PLGA 나노 입자의 합성과 수용성 약물 봉입 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6
문서 내 토픽
-
1. PLGA 나노 입자 합성PLGA는 높은 생체 적합성과 생분해성, 가공성으로 Drug Delivery System(DDS) 등의 디바이스로 응용되고 있다. 이번 실험은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PLGA를 이용하여 nanoparticles를 합성하며, 이에 수용성 약물인 methylene blue를 봉입하여 약물전달체로써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2. 약물 전달 시스템(DDS)약물 전달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약제학적 화합물을 표적 부위로 운반하는 것과 관련된 접근 방식, 제형, 제조 기술, 저장 시스템 및 기술을 말한다. 약물을 원하는 표적에 효율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약물 준비, 투여 경로, 부위별 표적화, 신체 대사 및 약물의 독성과 관련된 원칙을 사용하여 약물의 효능 및 안정성을 최적화하여 환자의 편의 및 순응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3. W/O/W 에멀젼 방법W/O/W 에멀젼 방법은 물과 유기 용액을 매우 균일하게 섞어 o/w 에멀젼을 만든 후에 이를 다시 물에 넣어 균일하게 섞은 후에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입자를 고체 상태로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peptide, protein 그리고 vaccine과 같은 수용성 캡슐에 가장 적합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친수성 약물을 봉입했을 때 봉입률이 매우 높다.
-
4. PLGA 나노 입자 크기 조절약물 전달체로서 입자의 크기는 매우 중요한데, 대부분의 경우 50~300nm 크기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적절하다. 나노 입자의 크기는 중합체의 분자량과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저분자량 중합체로는 크기가 비교적 작은(<100nm 정도)나노 입자를 만들고, 중합체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나노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emulsion을 만들 때 균질기의 회전 속도나 초음파의 강도에 따라 입자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
1. PLGA 나노 입자 합성PLGA(Poly(lactic-co-glycolic acid))는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로, 약물 전달 시스템(DDS)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LGA 나노 입자는 다양한 합성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에멀젼 기반 합성입니다. 에멀젼 기반 합성은 수용액상과 유기용매상의 혼합을 통해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입자 크기와 표면 특성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PLGA 나노 입자는 약물의 안정성 향상, 표적 지향성 향상, 약물 방출 조절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GA 나노 입자 합성 기술은 향후 의약품 개발 및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약물 전달 시스템(DDS)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물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DDS는 약물의 용해도, 안정성, 약동학적 특성 등을 개선하여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DDS 기술로는 나노 입자, 리포좀, 하이드로젤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약물의 표적 지향성, 지속 방출, 생체 내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PLGA 나노 입자는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DDS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향후 DDS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W/O/W 에멀젼 방법W/O/W(Water-in-Oil-in-Water) 에멀젼 방법은 PLGA 나노 입자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수용액상, 유기용매상, 그리고 다시 수용액상의 3단계 에멀젼 형성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약물을 효과적으로 encapsulation할 수 있습니다. W/O/W 에멀젼 방법은 입자 크기, 약물 로딩량, 약물 방출 특성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에
-
마이셀을 응용한 약물 전달체와 생체 내 약물주입에 관한 연구 9페이지
마이셀을 응용한 약물 전달체와 생체 내 약물주입에 관한 연구목차Ⅰ. 서론1. 연구 동기2. 연구 목적Ⅱ. 이론적 배경1. EPR 효과2. 블록 공중합체 합성법3. 마이셀4. 고분자 마이셀Ⅲ. 마이셀을 응용한 약물 전달체1. 나노 트로이 목마2.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마이셀3. 펩타이드-고분자 하이브리드4. siRNA 전달용 마이셀5. γ-PGA 나노마이셀Ⅳ. 결론참고 문헌Ⅰ. 서론1. 연구 동기이 연구는 최근 떠오르는 분야 중 하나인 약물전달용 나노입자, 마이셀을 공부하는 데 동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질병이나 손상된 부위...2020.01.10· 9페이지 -
나노약물(nanomedicine) 70페이지
` 5 조 NanomedicinesNanomedicines 역할 분담 자료조사 자료정리 및 보고서 작성 PPT 제작Nanomedicines 역할 분담Ⅰ. 서론 - 주제선정 이유 Ⅱ. 본론 - 나노전달체 -DDS Ⅲ. 결론 - 발전전망 - 문제점 및 해결책 Ⅳ. 참고문헌 ContentsPart 1 . 주제선정이유Nanomedicines 주제선정이유 의학의 엄청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수많은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 질병의 원인인 세포의 이상을 치료하기 위해 세포 크기의 기술개발이 필수인 시점이다 . 나노사이즈 약물이란 무엇이고 어...2010.08.26· 70페이지 -
PLGA를 이용한 DDS의 현황 및 응용과 미래 15페이지
PLGA를 이용한 DDS의 현황 및 응용과 미래1. 개요현재 많은 종류의 약이 존재하고 있으나 약물의 방출조절로 인한 부작용은 약이 가진 장점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이미 안정성이 검증된 약물을 담지하여 인체내에서 방출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약물방출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특히 DDS에서 약물전달체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polyester 계통의 생체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 (PLA), pol...2008.12.20· 15페이지 -
생분해성 논문 정리 17페이지
생분해성 고분자POLYMER ENGINEERING목 차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성 의약제제POLYMER ENGINEERING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POLYMER ENGINEERINGPOLYMER ENGINEERING나노 입자란? -입자의 크기가 수 nm~수백 nm -넓은 표면적을 가진 콜로이드상의 불균일 분산입자의 일종나노 입자 인체 투입 -주사, 경구, 피부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달 -원하는 장기나 조직에만 약물을 전달 시키기 위해 연구POLYMER ENGI...2006.12.13·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