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보장]아동간호학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3페이지 고퀄리티 자료입니다.
문서 내 토픽
-
1. 요로감염의 정의요로감염은 미생물학적으로 세균이 소변, 요도, 방광, 신장 또는 전립선에서 검출될 경우라고 정의할 수 있고, 유의한 수준의 세균뇨는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청결 채취 중간뇨에서 밀리리터 당 102개 또는 103개 이상의 세균이 배양되는 경우이며 무증상 환자에서는 105개 이상의 세균이 2회 이상 배양되는 경우를 말한다.
-
2. 요로감염의 원인요로감염은 주로 대장균에 의하여 발생하며 반복성 감염이나, 비뇨기과적 조작, 요로 결석 또는 요로 폐색과 관련된 요로감염, 요관-관련성 원내 감염 등에서는 다른 균이 요로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세균이 요도를 통하여 방광내로 유입되어 하부 요로감염이 발생하고, 방광으로부터 상부 요로로 세균이 역류하여 신실질의 감염(신우신염)을 일으킨다.
-
3. 요로감염의 종류요로감염은 방광염, 급성 신우신염, 요도염의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방광염은 배뇨통, 빈뇨, 요급, 치골 상부 통증 등의 증상이 있고, 급성 신우신염은 39.4℃ 이상의 고열, 오한,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다. 요도염은 급성 배뇨통, 빈뇨, 농뇨가 있으며 중간 채취 요배양에서 유의한 세균뇨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4. 요로감염의 검사 및 치료요로감염은 기저질환 등의 유무 및 감염 부위에 따라 급성 단순 하부 요로감염, 급성 단순 상부 요로감염, 복합성 요로감염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단순 하부 요로감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요검사나 요배양검사 없이 단기간 항생제 요법을 실시하고, 반복성 요로감염의 경우 장기간 저용량 예방요법을 시행한다. 임신부의 경우 상부 요로감염은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
5. 간호진단 및 중재간호진단으로는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치료와 관련된 지식부족, 환경부적응과 관련된 수면패턴장애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해열 및 수분 공급, 교육 제공, 안위 증진 등이 있다.
-
1. 요로감염의 정의요로감염은 요로계 내에 병원체가 침입하여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요로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어느 부위에서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로감염은 증상에 따라 방광염, 신우신염, 전립선염 등으로 구분됩니다. 요로감염은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며, 임신, 당뇨, 고령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요로감염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요로감염의 원인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대장균(E. coli)입니다. 대장균은 장내 정상 세균총의 일부이지만, 방광이나 요도로 유입되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클레브시엘라, 엔테로박터, 프로테우스 등의 세균도 요로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성관계, 불결한 위생, 요도 카테터 삽입, 임신, 당뇨 등이 요로감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 위생 관리와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요로감염 예방에 중요합니다.
-
3. 요로감염의 종류요로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방광염: 방광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요로감염으로, 배뇨 시 통증, 빈뇨, 요절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신우신염: 신장의 신우(신장 깔때기)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발열, 오한, 요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전립선염: 전립선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배뇨 장애, 골반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4. 요도염: 요도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배뇨 시 통증, 소량 배뇨, 요도 분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처럼 요로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4. 요로감염의 검사 및 치료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요 검사, 배양 검사, 영상 검사 등이 이루어집니다. 요 검사에서 백혈구 및 세균 검출, 요 배양 검사에서 병원체 확인, 초음파나 CT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감염 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감염 부위와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대부분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경증 방광염의 경우 단기 항생제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신우신염이나 전립선염 등 상부 요로감염의 경우 장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증상 완화를 위해 진통제, 해열제 등의 보조 치료도 병행됩니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패혈증,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5. 간호진단 및 중재요로감염 환자에 대한 간호진단과 중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간호진단: 1. 배뇨 장애 관련 통증 2. 감염 위험성 3. 지식 부족 간호중재: 1. 통증 관리: 진통제 투여, 온찜질 등 적용 2. 감염 관리: 항생제 투여, 수분 섭취 증진, 개인위생 관리 교육 3. 교육: 요로감염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 교육 이와 같은 간호중재를 통해 요로감염 환자의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A+보장]아동간호학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3페이지 고퀄리티 자료입니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