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S, ACLS 체크리스트
본 내용은
"
BLS, ACLS 체크리스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6
문서 내 토픽
-
1. B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1. 최초 발견자는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 10초 이내에 맥박과 무호흡(또는 비정상 호흡)을 동시에 확인 2. 동료 간호사에게 바로 CPR 방송요청을 하도록 한다. (제세동기와 응급Cart를 가져오도록 지시한다) 3. 가슴압박을 30회 시행하도록 한다. (Head tilt chin lift 하악거상법) -> 팔을 굽히지 않은 수직자세 유지 -> 흉골 하부 ½ 지점, 분당 100~120회, 5cm깊이 -> 가슴압박을 하고 있도록 한다. (CPR team 도착하기 전까지) 4. 방송 요청받은 간호사는 CPR방송요청을 하도록 한다. -> 주간 7070, 야간 7788 -> "발생장소 + (소아) CPR 방송해주세요"
-
2. AC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1. Endotracheal tube를 Ballon을 확인하고 Jelly를 바르고 준비한다.(남 7.5-8.0, 여 7.0, 소아는 커프 없는 tube, 환아의 새끼 손가락굵기) 2. Stylet을 Endotracheal tube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구멍 바로 전까지 넣어서 준비한다. (tube 끝보다 1.5cm 짧아야 한다) 3. 산소와 연결된 Ambu를 준비한다. (O2 15L full) Ambu bagging을 입과 코에 마스크로 밀착시켜 bagging 하면서 충분한 산소를(O2 full) 공급한다. 4. 후두경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그 상태로 시술자의 손에 삽입 가능한 올바른 상태로 전달한다.(시술자) 불이 들어온 Laryngoscopy를 왼손으로 잡는다. 5. 제세동기 EKG lead를 붙이고 monitoring을 하도록 한다. (최초 리듬은 출력하도록 하며 리듬이 바뀔 때마다 출력 해 놓도록 한다.) 6. Endotracheal tube 삽입 깊이는 남 22-23, 여 21-22cm 까지 삽입한다. 7. Endotracheal tube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10cc의 공기로 Ballooning 한다. 8. Ambu bagging을 시행한다. (CPR team 이 도착하기 전까지)가슴압박에 맞추어 30:2가 되도록 하며 ambu mask는 코와 입을 완전히 덮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착시킨다. (1초에 2회시행, 12회/min) 9. Suction 준비를 한다. -> 분비물이 많아 기도폐색이 의심될시 Suction을 시행한다. 10. Suction catheter를 Endotracheal tube에 넣어서 80~120cmH20의 Pressure를 가하여 15초를 넘지 않게 흡인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
1. B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BLS(Basic Life Support)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응급처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활용할 수 있으며,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체크리스트에는 기도 확보,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 심폐소생술의 핵심 단계들이 포함되어 있어, 실제 상황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체크리스트는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학습자의 숙련도를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B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는 심정지 환자 구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AC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응급처치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의료 전문가들이 활용하며, 심정지 상황에서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체크리스트에는 약물 투여, 제세동, 심전도 판독 등 ACLS 프로토콜의 핵심 단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숙련도와 대응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ACLS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전반적으로 ACLS 응급대처 수행능력 체크리스트는 심정지 환자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BLS, ACLS, KALS 비교 ppt (A급 자료: 제대로 된 자료 구매하세요) 52페이지
BLS, ACLS, KALS 비교Index 01 역할과 의사소통 방법 02 시뮬레이션과 디브리핑 03 전문소생술 리더와 팀원의 위치 04 시뮬레이션 체크리스트 05 Provider 06 교육대상 07 교육 전 필요한 사전 학습 내용 08 교육과정 인증 요건 09 약물 10 Airway 11 제세동01 역할과 의사소통 방법 1) 소생팀에 필요한 역할 BLS 1. 가슴압박 소생 치료의 전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압박이 지속이 필요 가장 힘들고 , 집중해야 하는 역할 2. 호흡유지 전문기도유지기를 넣는 역할 3. 제세동기 담당 환자에게 모...2020.05.26· 52페이지 -
성인간호학 응급실 BLS ACLS 기본심폐소생술 전문심폐소생술 ward class 문헌고찰 A+자료 30페이지
【 목 차 】Ⅰ. 심폐소생술 개요? 심폐소생술의 정의·목적·금기증 및 주의사항?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 심폐소생술 단계? 심폐소생술 중 순환상태의 평가Ⅱ. 기본 심폐소생술(BLS;basic life support)? 성인 심폐소생술? 소아 심폐소생술? 영아 심폐소생술Ⅲ. 전문 심폐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Cardiac Arrest Algorithm? Acute Coronary Syndromes Algorithm? PEA/Asystole Algorithm? VF/P...2019.07.28· 30페이지 -
NSICU 중환자실 daily reprt 4페이지
실습 Daily Report1일차 : 3월 5일신경외과중환자실(NSICU)에 실습배정 되었지만, 사실 성인간호학 강의는 신경계파트를 배우지 못한 상태로 실습에 임하게 되었다.그렇지만 이번 실습 기간에 신규간호사 선생님들께서 두분이나 배정되셔서, 신규간호사 병동교육을 함께 들으며 NSICU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함께 들을 수 있었다.오늘은 NSICU 내부 구조, 주요 물품, 주로 많이 하는 기본간호술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기본간호로는 위관영양, 체위변경, 흡인을 배우고, 직접 시행해 보는 기회도 가졌다.항생제에 대한 skin te...2012.12.23·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