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브리 성서란 무엇인가 - 미션스쿨 성서와 기독교 레포트
본 내용은
"
히브리 성서란 무엇인가 - 미션스쿨 성서와 기독교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8
문서 내 토픽
-
1. 구약성서와 신약성서기독교인과 랍비 유대교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 기독교인은 '구약성서를 신약성서와 통일성을 이루는 책'으로 보는 반면 유대교는 '구약성서를 신약성서와 독립된 책'으로 여기며 구약성서를 '히브리 성서(Hebrew Bible)'라고 부른다. 이는 구약성서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기독교는 구약성서로부터 유래한 유대교 중의 하나이지만 유대교 율법주의와의 투쟁을 자기 정체성으로 삼으면서 신약성서와 구약성서의 불연속성을 강조한다.
-
2. 구약성서의 구성구약성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모세오경(Torah)'으로, 모세가 받은 계시가 담겨 있으며 인간 사회의 법과 제법(제사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는 '역사서'로,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을 정벌하는 과정과 바빌론 포로 생활 등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예언서'는 절대자의 뜻에 벗어난 일에 대한 결과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다.
-
3. 바빌론 포로 생활구약성서에 등장하는 바빌론 포로 생활은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것이다. 솔로몬 왕 사후 이스라엘이 북쪽의 이스라엘과 남쪽의 유다로 나뉘었고, 유다는 불안정한 왕권 아래 있었다. 결국 유다는 바빌론에 의해 예루살렘을 빼앗기고 유대인들은 포로가 되었다. 약 50년 후 페르시아의 도움으로 유대인들은 자유를 되찾았고, 이 과정에서 유대인들 간의 유대감이 더욱 증진되었다.
-
4. 예언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언은 단순한 미래 예측이 아니라, 역사 속 특정 순간을 해석하고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것이다. 예언자들은 소명 체험, 파송, 하나님 말씀 전달의 과정을 거쳐 활동했으며, 당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메시지 전달의 상징적인 매체'로서 역할을 했다.
-
5. 구약성서의 현대적 의미구약성서의 핵심인 613계명은 '하나님, 가정, 생명, 성'의 순서로 위계질서를 반영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를 살펴보면, 돈과 성이 생명이나 가정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하나님은 안중에도 없는 타락한 가치관이 깊이 침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구약성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여전히 유효하며, 우리는 이에 대한 철저한 회귀가 필요하다.
-
1. 구약성서와 신약성서구약성서와 신약성서는 기독교 신앙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경전입니다. 구약성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관계를 다루며, 창조, 타락, 구원 등의 주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반면 신약성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침, 그리고 초대 교회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두 경전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독교 신앙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보여주며,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영적 지침이 되고 있습니다.
-
2. 구약성서의 구성구약성서는 크게 오경,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경은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과 모세 율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역사서는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역대기상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시가서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생의 지혜와 신앙을 다루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예언서는 이사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구약성서는 다양한 장르와 주제로 구성되어 있어, 기독교 신앙의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3. 바빌론 포로 생활바빌론 포로 생활은 구약성서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주전 586년 바빌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유다 왕국의 백성들이 바빌론으로 끌려갔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신앙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고 자신들의 토지와 가족을 잃었지만, 여호와 하나님을 믿는 신앙을 지켜나갔습니다. 이 시기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포로 생활 이후 유대교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바빌론 포로 생활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큰 고난이었지만, 그들의 신앙을 더욱 견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4. 예언구약성서에서 예언은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구약의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백성들에게 회개와 순종을 촉구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전했으며, 메시아의 오심을 예언했습니다. 예언자들의 메시지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미래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을 보여줍니다. 예언서들은 하나님의 주권과 공의, 그리고 구원의 계획을 보여주며,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영적 지침이 되고 있습니다. 예언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역사 속에서 펼쳐지는 하나님의 섭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구약성서의 현대적 의미구약성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구약성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인간의 죄성과 구원의 필요성을 보여줌으로써 현대인들에게 영적 지침이 되고 있습니다. 둘째, 구약성서는 역사적 사실과 문화적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신약성서와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셋째, 구약성서의 윤리적 가르침은 오늘날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넷째, 구약성서의 예언은 하나님의 섭리와 메시아 사역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이처럼 구약성서는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영적, 역사적, 윤리적, 신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구약성서의 지혜와 가르침은 오늘날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하며, 우리의 신앙생활과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