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기계공학 메카트로닉스설계 메카트로닉스 응용사례 과제
본 내용은
"
조선대 기계공학 메카트로닉스설계 메카트로닉스 응용사례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5
문서 내 토픽
  • 1. 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
    ESP는 빗길, 눈길, 급선회 등의 상황에서 엔진출력 및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의지대로 주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ESP는 다수의 센서(휠 스피드 센서, 조향각 센서, G센서)와 각각의 바퀴에 운전자가 의도한 움직임(스티어링 각도,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개도상태 등)이 필요하다.
  • 2. 보스턴 다이내믹스 스트레치
    스트레치는 팔에 장착된 빨판을 이용해 물류 상자를 이동시킨다. 로봇 팔 옆에 부착된 센서로 컨테이너의 장애물과 화물 위치를 모두 스캔한다. 자율주행으로 내부를 돌아다니는 것은 물론,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변화하는 시설 내부 구조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기둥은 퍼셉션 마스트(Perception Mast)라고 부르는 비전 AI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 3. a사의 EUV 장비의 관성제어 장비
    레티클(반도체 소자가 인쇄된 유리 원판) 레티클 스테이지는 좌우로 3.2m/s로 이동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관성을 기술적으로 상쇄시켜 반도체를 인쇄한다. 관성이 상쇄되지 않고 인쇄가 된다면 원치않는곳에 인쇄가 되기 때문이다. 관성 센서는 3축 자이로스코프, 3축 가속도계 및 온도 센서, 중력센서, 속도센서, 정렬센서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
    ESP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핵심 기술입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개별 바퀴의 제동력을 조절하여 차량이 원하는 주행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량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ESP 시스템이 차량 안전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2. 보스턴 다이내믹스 스트레치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트레치 로봇은 인간의 움직임을 매우 정교하게 모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이 로봇은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구현하여 사람과 유사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활 치료, 운동 보조, 작업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움직임을 모방하는 기술은 향후 로봇 기술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트레치 로봇은 인간과 로봇의 융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a사의 EUV 장비의 관성제어 장비
    a사의 EUV 장비에 적용된 관성제어 기술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UV 공정은 극자외선을 이용하여 초미세 패턴을 구현하는 기술로, 이 과정에서 진동과 흔들림이 발생하면 패턴 정밀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관성제어 장비는 이러한 진동과 흔들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보정함으로써 패턴 정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집적도 향상과 제품 수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a사의 관성제어 기술은 EUV 공정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