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박물관 기행문, 부산박물관 견학 (부산박물관을 다녀와서)
본 내용은
"
부산박물관 기행문, 부산박물관 견학 (부산박물관을 다녀와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1
문서 내 토픽
-
1. 도자기도자기는 신석기 시대 때 음식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토기에서 시작하여 우리만의 독보적인 예술품으로 자리잡았다. 신라시대때 중국과의 활발한 무역을 통하여 도자기 제조 기술을 받아들임으로써 토기 문화권을 벗어나 자기 문화권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그 후 통일신라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한 청자는 12세기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더욱 더 발전하였고 당시 중국에서 '고려청자의 비색은 천하제일'이라고 할 만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우리만의 독창적인 자기를 생산하게 되었다. 청자는 특유의 화려함과 세련됨으로 많은 걸작을 남겼다. 부산박물관에도 여러 고려청자가 있다. 그 중에 하나를 꼽자면 고려시기때 제작된 '청자상감모란문편병'이다. 청자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아무래도 청정무구한 푸른 빛깔이라고 할 수 있다. 맑고 은은한 녹색에 가까운 푸른색 색감은 이른바 비색이라 일컬어 질만 하다. 청자 중에서도 청자상감은 그 수법이 유례없는 독창적인 것이고 고귀한 선과 섬세한 감각으로 만들어낸 과하지 않은 장식, 색조의 품위 있는 절제 및 훌륭한 기술이 두드러진다. 15세기 초 청자에서 백자로 변환되는 중간 과정으로 분청사기라는 매우 특색 있고 우수한 도자기를 제작한다. 분청사기의 무늬는 활달하고 민예적인 것이 특징이다. 부산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분청사기조화박지모란잎문병'은 그러한 분청사기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면이 넓은 모란잎은 서로 중첩되어 풍성한 느낌을 자아내며 어두운 색감과의 대비로 한결 생생하게 느껴진다. 외적인 모습으로는 몸통의 양감이 적절해서 전체 모습이 유려하고 몸통 아래쪽과 굽 사이가 층을 이루어서 이채롭다.
-
2. 백자17세기 조선시대의 유교적인 문화를 배경으로 백의 민족으로서 순결, 순수, 겸손을 상징하는 '백(白)'을 발전시킨다. 아름다운 순백색의 자기에서 다양한 문양과 대담한 변형을 이뤄 화려한 세련미를 갖춘 공예 예술로 발전하였다. 왼쪽의 사진은 조선시대때 제작된 백자청화운룡문호이다. 전반적으로 푸른 하얀색에 가까운 색을 띄고 있으며 어깨는 풍만하며 하단부로 내려오면서 자연스럽게 모아지는 형태이다. 자기에 새겨진 문양은 유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필력과 구름문의 거침없는 회화적 묘사가 두드러진다.
-
3. 기와고대 건축의 미를 보다 잘 느낄 수 있는 곳은 기와이다. 기와는 지붕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기와는 본래 우리나라 고유의 건축물이 아니었다. 그러나 한국적인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조건에 맞게 모양을 변형시켜 이른바 한국적인 양식으로 발전되었다. 사용처와 형태에 따라 종류도 매우 다양한데 한국예술의 멋과 아름다움이라는 주제에 맞게 장식 용도로 사용되는 기와에 집중하겠다. 왼쪽에 있는 사진은 망새를 담고 있다. 박물관에는 망새라는 이름으로 전시되어 있었지만 치미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망새란 큰 건물의 기와지붕 용마루 양끝에 얹는 큰 장식기와를 말하며 건물을 보다 웅장하게 보이게 하고 권위나 위엄을 상징한다.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기고 바깥쪽에는 봉황의 날개를 형상화한 단열이 층을 이루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잡상을 보여준다. 잡상은 건물을 수호하는 신성한 동물의 모습을 본 떠 만든 조형물로서 건축물의 화재 예방과 안정을 위한 벽사의 의미도 가지고 있지만 건축물의 위엄을 위한 장식기와이다.
-
1. 도자기도자기는 인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예술 분야입니다. 도자기는 단순한 실용품을 넘어 아름다운 조형미와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도자기 제작 기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전통이 반영되어 왔습니다. 도자기는 단순한 물건을 넘어 예술적 가치와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삶과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해왔습니다. 따라서 도자기 예술은 인류 문화유산으로서 보존과 계승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2. 백자백자는 한국 도자기 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백색의 아름다운 색감과 우아한 곡선미, 정제된 형태는 백자만의 독특한 미적 특성을 보여줍니다. 백자는 단순한 실용품을 넘어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한국 전통 미술의 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자 제작 기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발전해왔습니다. 백자는 한국 문화의 정신적 가치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미적 감각과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자 예술의 보존과 계승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켜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3. 기와기와는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단순한 지붕 재료를 넘어 독특한 미적 가치와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기와의 아름다운 색감과 곡선미, 정교한 제작 기술은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을 잘 보여줍니다. 기와는 단순한 실용적 기능을 넘어 건축물의 품격과 격조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또한 기와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발전해왔으며, 이를 통해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와 예술의 보존과 계승은 한국 전통 건축의 정체성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 문화의 가치를 후대에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