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요약집/방어기전/항체/면역/장기이식/감염/핵심정리
본 내용은
"
병리학/요약집/방어기전/항체/면역/장기이식/감염/핵심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6
문서 내 토픽
  • 1. 신체구조와 기능의 방어기전
    인체의 방어기능은 손상의 양, 질, 파괴력, 개인의 적응능력에 따라 다르다. 인체의 구조적 방어기전에는 장기가 단단한 뼈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 건강한 피부와 점막, 반사기전 등이 포함된다. 생화학적 요인으로는 피부의 땀과 피지선, 위장관계의 산도, 질의 산도와 분비물 등이 있다. 또한 정상균총에 의한 미생물 길항작용도 방어기전이다.
  • 2. 세포의 방어기전
    혈액 내 형질세포는 항체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며, 만성 염증이나 매독 시 증가한다. 식세포 작용을 통해 백혈구가 이물질을 소화하고 파괴시키는 것도 세포의 방어기전이다.
  • 3. 면역
    면역은 이질인자에 대한 방어능력으로, 외부 이물질 침입 시 생체를 보호하고 재침입 시 저항력을 발휘한다. 넓은 의미로는 병, 독소에 대한 방어성, 감수성, 저항성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항원에 의한 항체 생산을 말한다. 면역 기능은 감염증 발생 시 활성화되며, 사멸 또는 손상 세포를 제거하고 악성 세포 발육을 막는다.
  • 4. 비특이성 면역
    비특이성 면역은 각기 다른 이질인자로부터 인체를 전신적으로 보호한다. 제1방어선에는 기계적 장벽(손상 없는 점막과 피부), 화학적 장벽(눈물의 리소자임, 위산, 소화효소, 호흡기 점막의 점액), 반사작용(기침, 재채기, 구토, 설사) 등이 포함된다. 제2방어선에는 식세포 작용을 통한 백혈구의 이물질 소화 및 파괴가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체구조와 기능의 방어기전
    신체구조와 기능은 다양한 방어기전을 통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 피부, 점막, 위장관 등의 물리적 장벽은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첫 번째 방어선이다. 또한 체액과 분비물에 포함된 화학물질들은 병원체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체온 조절, 염증 반응, 혈액 응고 등의 생리적 기전들도 병원체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양한 방어기전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2. 세포의 방어기전
    세포 수준에서의 방어기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세포막은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며, 세포 내부에는 다양한 화학적 방어 기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리소좀 내 효소들은 침입한 병원체를 분해하고, 핵산 분해효소는 병원체의 유전물질을 파괴한다. 또한 세포는 자가 사멸 기전을 통해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면역세포들의 활성화와 면역반응 유도 등 다양한 생물학적 방어기전이 작용한다. 이처럼 세포 수준에서의 방어기전은 매우 정교하고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고 있다.
  • 3. 면역
    면역은 우리 몸을 외부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방어기전이다. 면역체계는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병원체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한다. 선천면역은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초기 감염을 막고, 적응면역은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통해 장기적인 방어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면역체계의 작동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며, 면역 관련 질환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면역 기전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4. 비특이성 면역
    비특이성 면역은 선천면역의 일부로, 병원체에 대한 특이성 없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방어기전이다.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 보체계 등이 대표적인 비특이성 면역 구성 요소이다. 이들은 병원체의 일반적인 특징을 인식하여 빠르게 반응하며, 이를 통해 초기 감염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비특이성 면역은 적응면역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장기적인 방어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비특이성 면역은 우리 몸의 첫 번째 방어선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