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부학A+ / 심혈관계 & 림프계 / 요약집 / 핵심정리 / 인체해부학
본 내용은
"
해부학A+ / 심혈관계 & 림프계 / 요약집 / 핵심정리 / 인체해부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4
문서 내 토픽
-
1. 동맥(artery)동맥은 심장을 나와 몸의 말단을 향해 나가는 혈관(원심성)이다. 벽이 두껍고 튼튼하여 혈압이 높으며, 중간막에 민무늬근육과 탄력섬유가 풍부해 신축성과 신전성이 좋다. 동맥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 세동맥으로 분류된다.
-
2. 정맥(vein)정맥은 몸의 말단으로부터 심장을 향해 돌아오는 혈관(구심성)으로, 혈압이 낮아 벽이 얇다. 정맥은 혈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판막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
3. 모세혈관(capillary)모세혈관은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매우 가는 혈관으로, 편평상피 한 층의 내피로 이루어져 있다. 모세혈관에서 혈액과 조직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다.
-
4. 혈관의 연결(문합)혈관끼리 가지를 내어 가로로 이어지는 것을 혈관연결(anastomosis)이라고 한다. 연결가지(anastomotic branch)가 있는 경우 동맥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측부 순환을 통해 혈류 단절을 막을 수 있다.
-
5. 혈액혈액은 체중의 약 8~9%를 차지하며, 약 5L 정도이다. 혈액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체온 유지, 전해질 및 수분 조절, 혈액 응고 등의 기능을 한다. 혈액은 혈장과 혈구성분으로 구성된다.
-
6. 혈구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다. 적혈구는 biconcave 원반 모양으로 혈색소를 가지고 있어 산소 운반 기능을 한다. 백혈구는 병원체 침입을 막고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한다.
-
7. 심장의 구조심장은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성의 장기이다. 심장은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좌측으로 15도 기울어져 있다. 심장은 심방, 심실, 심방사이막, 심실사이막, 심장벽 등으로 구성된다.
-
8. 심장의 판막심장에는 방실판막(삼첨판, 이첨판)과 반달판막(폐동맥판, 대동맥판)이 있다. 이 판막들은 역류를 막고 혈액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9. 자극전도계심장의 자율적인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구조로, 굴심방결절, 방실결절, 방실다발, 푸르킨예섬유 등으로 구성된다.
-
10. 림프계통림프계통은 림프관, 림프절, 림프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계통은 조직액을 순환시키고 면역 기능을 담당한다. 주요 림프기관에는 지라, 가슴샘 등이 있다.
-
1. 동맥(artery)동맥은 심장에서 나와 전신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는 혈관입니다. 동맥은 혈압이 높고 혈액 흐름이 빠르며,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있습니다. 동맥은 심장에서 나와 점점 가늘어지면서 모세혈관으로 연결됩니다. 동맥은 우리 몸의 중요한 혈액 공급 통로이며, 동맥경화증이나 혈관 수축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맥 건강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
2. 정맥(vein)정맥은 모세혈관에서 모인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혈관입니다. 정맥은 혈압이 낮고 혈액 흐름이 느리며, 혈관벽이 얇고 판막이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정맥은 심장으로 혈액을 보내는 역할을 하며, 하지정맥류나 혈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혈액 순환에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정맥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장시간 앉아있지 않기, 다리 올리기 등의 예방법이 중요합니다.
-
3. 모세혈관(capillary)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 작은 혈관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조직 세포로 전달하고 노폐물을 수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모세혈관은 혈관벽이 매우 얇아 물질 교환이 용이하며, 조직 전체에 걸쳐 촘촘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모세혈관의 기능 저하는 조직 손상과 장기 부전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모세혈관 건강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분 섭취, 금연 등이 중요합니다.
-
4. 혈관의 연결(문합)혈관의 연결, 즉 문합은 동맥과 정맥, 또는 동맥과 동맥, 정맥과 정맥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개선됩니다. 문합은 외과 수술에서 많이 이용되며, 혈관 폐쇄나 손상 시 우회로를 만들어 혈액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 이식 수술에서도 공여 장기와 수혜자의 혈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혈관 문합 기술의 발전은 의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5. 혈액혈액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체액 중 하나로,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에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 성분과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혈액의 성상과 양은 건강 상태를 반영하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혈액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각종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혈구혈구는 혈액을 구성하는 세포 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분됩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고, 백혈구는 감염 방어,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합니다. 혈구 수치의 변화는 다양한 질병을 반영하므로,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혈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빈혈은 적혈구 감소, 백혈구 증가는 감염, 혈소판 감소는 출혈 경향을 나타냅니다. 건강한 생활습관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혈구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 심장의 구조심장은 우리 몸의 중심 장기로, 4개의 방(심방 2개, 심실 2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장은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여 보내는 역할을 하며, 심장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혈액 순환이 이루어집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다양한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
8. 심장의 판막심장에는 4개의 판막(승모판, 삼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일방향 흐름을 유지합니다. 이 판막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판막 협착이나 역류 등의 문제가 생기면 심장이 과부하되어 심부전, 부정맥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장 판막 질환은 노화, 선천성 결함,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판막 기능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자극전도계자극전도계는 심장의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전기 신호 전달 체계입니다. 이 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His다발, 푸르키녜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근육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심장 박동을 조절합니다. 자극전도계의 문제로 인해 부정맥, 심장 블록 등의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극전도계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금연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
10. 림프계통림프계통은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체계로, 림프관, 림프절, 림프조직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림프계통은 체내 감염이나 암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림프절 종대, 림프관 폐쇄 등의 림프계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림프계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분 섭취,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림프계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