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와 고려 속요의 구조적 특징의 차이
본 내용은
"
향가와 고려 속요의 구조적 특징의 차이를 기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3
문서 내 토픽
  • 1. 향가
    향가는 향찰로 표기된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이자 서정시이다. 신라시대부터 고려전기까지 창작이 되었으며, 도솔가와 사뇌가도 포함을 하고 있다. 현재 25수가 전해지고 있으며, 이중 14수는 삼국유사에 전하고 11수는 균여전에서 전하고 있는데,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것은 내용이 다채로운 편이다. 향가라는 명칭은 중국노래에 대한 우리노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자가 내용은 다채롭고 왕족이나 승려 혹은 견우노옹과 같이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이도 있다. 주제는 서정적인 것과 노동을 위한 것등이 있으며 향가 가운데 가장 단순한 것은 4구체 향가로 선화공주가 결혼을 하기 위해서 아이들에게 불리우게 했다는 것처럼 동요적인 성격을 가진 것도 있다. 또한 풍요처럼 흙을 나르면서 부른 노동요도 있다. 또한 10구체 향가처럼 감탄사로 시작이 되는 시조와 유사한 형식의 방법도 쓰이고 있다.
  • 2. 고려 속요
    고려가요의 경우에는 김진희 고려속요의 음악적 구성원리 2000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의 논문에서도 제시된 것처럼 민중 사이에 널리 불리던 속요로서 보통 가요라고도 불리우지면 학계에서는 별곡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게 적절하다는 견해 또한 있는 문학이다. 그렇기에 고려가요에의 많은 제목들이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등 별곡의 이름이 붙은 것들이 많다. 대부분 3.3.2조 또는 3.4.4조의 3음보의 분 절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시리, 청산별곡의 경우에는 3.3.2조로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구전의 형식을 거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문자로 정착이 되기 시작하는데, 그 이전까지는 하층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정서가 많이 녹아든 곳들이 많았다.
  • 3. 향가와 고려 속요의 차이
    향가와 고려가요는 연결 짓기 보다는 시대에 따라 만들어진 독특한 각각의 문학양식으로 볼 수 있다. 향가는 한자를 빌려와서 만든 향찰을 바탕으로 만들었고 구전에 의해 전해진 부분이 많기에 해석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고려가요는 시조창과도 닮은 부분이 있으며, 조선시대에 후에도 연구가 계속된 부분이 있기에 보다 더 체계적이고 밝혀진 부분이 많은 문학형식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주제에 있어서도 향가는 화랑도, 불교 등 정신세계적인 부분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물질주의적 내용은 추구하지 않고, 정해진 형태가 있는 정형시였다면, 고려가요는 향가에서 감탄구로 쓰인 차사가 있고 이를 후렴구로 계승을 하였지만, 향가와 다르게 길이가 긴 장가형식이며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글자, 행수가 자유형이며 물질세계에 대한 추구 역시 제시를 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향가
    향가는 우리나라 고대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신라 시대에 발생한 토속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노래입니다. 향가는 주로 자연과 신에 대한 찬미와 기원을 담고 있으며,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향가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향가의 아름다운 언어와 리듬은 우리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며,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 2. 고려 속요
    고려 속요는 고려 시대에 유행했던 민간 노래로, 향가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려 속요는 주로 사랑과 풍류를 노래하며, 당시 사대부와 일반 백성들의 생활상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고려 속요는 향가에 비해 좀 더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면모를 보이지만, 그 안에는 고려 시대 사람들의 정서와 가치관이 깊이 담겨 있습니다. 고려 속요는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 3. 향가와 고려 속요의 차이
    향가와 고려 속요는 모두 우리나라 고대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지만, 그 특징과 성격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향가는 주로 자연과 신에 대한 찬미와 기원을 담고 있는 반면, 고려 속요는 사랑과 풍류를 노래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향가가 보다 종교적이고 토속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고려 속요는 좀 더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면모를 보입니다. 하지만 두 작품 모두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의 소중한 유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향가와 고려 속요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