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활동 중심지 도출과 중심지 기능 분석
본 내용은
"
(논문요약) 김선재.이수기.(2021).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활동 중심지 도출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4
문서 내 토픽
-
1. 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 분석대도시의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다핵 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를 설정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도시의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를 설정하는 데 주안점을 둘 뿐 광역생활권인 수도권의 공간구조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도시의 공간구조와 중심지의 위계를 분석할 때는 수도권정비계획이나 광역도시계획 같은 상위의 계획들에 더해 실제 사람들이 활동하는 대도시권의 공간 구조 파악이 필요하다.
-
2.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활동 중심지 도출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로 구성된 수도권을 분석 범위로 설정하고, 카카오맵의 POI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 대도시권의 도시공간구조와 시민들의 활동중심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POI 빅데이터는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정확도가 높은 자료라고 판단하였다.
-
3. 도시 활동 중심지의 기능 분석본 연구에서는 POI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된 도시 활동 중심지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고용 밀도나 인구 밀도, 지가, 통근통행 등을 지표로 활용해 왔지만, 이들은 실제로 도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POI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사람들의 활동을 반영한 도시 활동 중심지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1. 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 분석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 분석은 도시 계획 및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도시 공간구조는 도시 내 다양한 기능과 활동이 어떻게 배치되고 연계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며, 중심지 체계는 도시 내 주요 활동 거점의 위계와 역할을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균형 발전, 효율적인 자원 배분, 주민 편의성 제고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 등 디지털 경제의 발달로 인해 기존 상업 중심지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주거와 업무, 여가 등 도시 기능의 혼합이 증가하는 등 도시 공간구조가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도시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활동 중심지 도출POI(Point of Interest)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활동 중심지 도출은 매우 유용한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는 주로 토지이용 현황, 인구 분포, 교통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 활동 중심지를 파악했지만, POI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실제 사람들의 활동 패턴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POI 데이터에는 상점, 음식점, 문화시설 등 다양한 도시 활동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분석하면 사람들이 실제로 많이 모이고 활동하는 지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대별, 요일별 POI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도시 활동의 동적인 특성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도시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POI 데이터의 한계와 편향성을 고려하여 다른 데이터와의 결합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도시 활동 중심지의 기능 분석도시 활동 중심지의 기능 분석은 도시 계획 및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