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자의 '무용과 유용'
본 내용은
"
장자의 '무용과 유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2
문서 내 토픽
-
1. 무용지용장자는 '무용지용'의 개념을 통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으며, 모든 것에는 각자의 용처가 있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그 용처를 모르는 것일 뿐이며, 겉으로 보기에 무용해 보이는 것도 실제로는 크게 쓰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3M의 포스트잇과 블루진 청바지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장자는 만물의 쓰임을 멋대로 재단해서는 안 되며, 세상 만물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그 쓰임이 훨씬 오묘하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
2. 무위(無爲)장자의 '무위(無爲)'는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전체를 두루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위적으로 가르지 않고 만물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말합니다. 장자는 이러한 '무위'의 관점에서 '무용지용'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1. 무용지용무용지용(無用之用)은 겉으로 보기에는 쓸모없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가사상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내적인 가치와 의미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자연풍경이나 예술작품은 겉으로 보기에는 실용적인 가치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우리에게 심미적 만족감과 영적 고양감을 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명상이나 휴식과 같은 활동들도 겉으로 보기에는 생산적이지 않아 보이지만, 내적 평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무용지용의 개념은 우리에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치와 의미를 깨닫게 해주며, 삶의 본질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단순히 실용성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무위(無爲)무위(無爲)는 도가사상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위적인 노력이나 강제적인 행동을 배제하고,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을 강조합니다. 무위의 핵심은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하고, 인위적인 간섭이나 조작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본래의 모습을 잃지 않고,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무위는 삶의 여유와 평화를 가져다주며, 스트레스와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위를 단순히 게으름이나 무기력으로 오해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무위는 적절한 행동과 노력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는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일을 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무위는 삶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위의 개념은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무하유지향’의 교훈과 ‘무용과 유용’의 矛盾 1페이지
주제 : ‘무하유지향’의 교훈과 ‘무용과 유용’의 矛盾‘모순’이란 말은 우리 삶의 대부분을 보여준다. 이는 모순의 어원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창과 방패를 팔기 위해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한 장사꾼도 자신을 이익을 추구하는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순이 「장자」에서라도 예외는 아니다. 장자는 많은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려고 하였으나 이야기의 교훈 간에 서로 모순이 되곤 한다. 그래서 나는 「장자」속의 모순되는 이야기 두 가지를 찾아 이를 비교하고, 나의 생각을 나타내려고 한다.내편 인간세의...2011.04.06· 1페이지 -
장자 사상에 대해서 제 경험을 토대로 쓴 레포트 입니다. 2페이지
대학생이 되어서 그동안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에 배우거나 들었던 옛 고전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이 있게 공부하는 시간이 많아 졌다. 이 란 책도 또한 그러하다. 장자는 우리가 고등학교 윤리에서 배웠듯이 도가에서 노자의 뒤를 이은 성인이다. 그가 지은 란 책은 그의 자연관, 세계관이 담겨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어떤 부분은 우리가 이미 다른 책에서 배워서 알고 있는 우화적인 이야기도 많이 있다. 전에는 이런 이야기를 보고, 듣고, 배우면서 단지 그 이야기속의 교훈이나 도가사상의 윤리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공부했었다.그러나 이 라는 옛 ...2009.11.20· 2페이지 -
[환경,철학] 환경문제 8페이지
환경문제의 새로운 출구● 환경 위기에 대한 철학적 반성의 필요성환경 파괴는 과히 위험수위에 올라있다고 할 수 있다. 서구에서 산업혁명 이후 나타난 매연이나 폐수는 대표적인 환경 파괴 현상이었다. 과학과 기술이 밀착되면서 인구폭발, 산업화, 도시화, 소비수준의 급상승으로 인한 최근의 대규모 환경 파괴로 인한 환경위기의 수준은 지구전체의 파멸이라는 인식을 초래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이다. 하지만 현대에서 환경위기의 극복은 그리 쉽지가 않다. 현대에서 환경 위기의 극복이 어려운 커다란 이유는 인간 심성의 근본적 왜곡 현상이다. 심성의 왜곡...2004.03.11·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