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분만 여성 / 제대관련 건강문제[제대탈출, 일측 제대동맥,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 제대길이의 이상] 병태생리, 간호사정, 치료적 관리, 간호중재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 고위험 분만 여성 / 제대관련 건강문제[제대탈출, 일측 제대동맥,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 제대길이의 이상] 병태생리, 간호사정, 치료적 관리, 간호중재 / 자료조사, 요약정리, 문헌고찰, 교과서(교재, 필기) 정리 [과제(레포트) 자료조사 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8
문서 내 토픽
  • 1. 제대탈출
    제대탈출은 양막경이나 질 검사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막이 파열되면 제대 탈출과 감염 가능성을 주의깊게 봐야 한다. 제대탈출의 원인은 태아 선진부가 자궁하부분과 골반 입구를 제대로 채우지 못할 때, 제대가 비정상적으로 길 때, 골반에 진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기파막이 일어날 때, 비정상적인 태위일 때, 선진부가 진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공 파막이 되면 발생하기 쉽다. 치료의 목적은 태아의 안녕을 위해 제대압박을 완화하는 것으로, 즉각적인 제왕절개술, 자궁수축 억제제, 흡인분만 등의 방법이 있다.
  • 2. 일측 제대동맥
    일측 제대동맥은 제대동맥의 선천성 이상으로, 정상 제대는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구성되지만 1개의 동맥을 가진 경우가 임신의 1.0%에서 발생한다. 일측 제대동맥을 가진 신생아 중 15~20%는 심혈관 기형을 가지고 있으며, 저출산 체중아를 유발할 수 있다. 치료방법은 없으며, 의사에게 알리고 부모에게 문제를 설명하며 선천성 기형에 대한 검사와 정보제공, 지지를 제공해야 한다.
  • 3.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
    태아막 제대 부착은 태반 중앙이 아닌 태반 변연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양막 추벽에 둘러싸여 태반에 도달하는 상태이며, 전치혈관은 태아의 제대혈관이 자궁내구 부위를 지나 태아 선진부 앞에 놓이는 상태이다. 태아막 제대 부착은 분만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전치혈관의 경우 태아 혈관이 찢어지면 출혈로 인해 태아사망의 위험이 60~70%로 높아진다. 전치혈관은 분만이 진행되면서 태아출혈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즉시 응급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 4. 제대길이의 이상
    제대 길이의 이상에는 짧은 제대와 긴 제대가 있다. 최소한의 제대 길이는 32cm이며, 이하면 짧은 제대로 자궁내번증을 초래할 수 있다. 평균 길이는 54~61cm이며, 100cm 이상이면 긴 제대로 태아의 목, 신체 일부, 사지에 휘감겨 제대압박을 초래할 수 있다. 제대가 짧고 팽팽하여 벗길 수 없으면 제대 겸자와 제대가위를 이용하여 자른 후 풀어줄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제대탈출
    제대탈출은 임신 중 태아의 제대가 자궁 내에서 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제대탈출이 발생하면 태아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산소 부족으로 인한 태아 사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신속한 진단과 제왕절개술 등의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제대탈출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부의 건강 관리와 정기 검진을 통해 제대탈출 발생을 예방하고, 만약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으로 태아와 산모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2. 일측 제대동맥
    일측 제대동맥은 태아의 제대에 동맥이 하나만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태아의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으로, 정상적인 제대에는 두 개의 동맥이 있습니다. 일측 제대동맥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른 기형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 검진을 통해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일측 제대동맥의 원인과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임신부는 정기 검진에 성실히 참여하고,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태아의 건강을 보호해야 합니다.
  • 3.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은 태아의 제대가 자궁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제대부착의 이상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전치혈관은 출산 시 출혈 등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 검진을 통해 이러한 이상 소견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제대부착과 혈관 위치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제왕절개술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임신부 또한 정기 검진에 성실히 참여하고,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태아와 자신의 건강을 보호해야 합니다.
  • 4. 제대길이의 이상
    제대길이의 이상은 태아의 제대가 지나치게 길거나 짧은 상태를 말합니다. 제대길이가 비정상적이면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대가 지나치게 길면 제대 엉킴, 탈출 등의 위험이 높아지고, 제대가 짧으면 태아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성장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 검진을 통해 제대길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의료진은 제대길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위협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임신부 또한 정기 검진에 성실히 참여하고,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태아와 자신의 건강을 보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