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관내삽관, intubation (endotracheal intubation) 간호
문서 내 토픽
-
1. 기관내삽관 간호기관내삽관은 응급 상황에서 기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술기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물품 준비, 전산소화, 진정 유도, 신경근 차단, 삽관 시행, 삽관 후 처치 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관내삽관 간호 시 주의사항과 기록 방법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
2. endotracheal tube 종류endotracheal tube에는 cuffed, uncuffed, wire tube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대상이 다릅니다. 튜브 크기 선정 시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준도 제시되어 있습니다.
-
3. I-gel (아이젤)I-gel은 기도 유지, 기관내 삽관 실패 시, 응급 상황에서 기도 확보 등의 적응증을 가지고 있으며, 삽입이 간편하고 손상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크기 선정 기준도 제시되어 있습니다.
-
4. 전산소화(pre-oxygenation)기관내삽관 전 100% 산소로 3-5분간 전산소화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bag valve mask (BVM) ventilation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
5. 진정 유도 및 신경근 차단기관내삽관을 위해 진정 유도와 신경근 차단이 필요합니다. 성인과 소아에서 사용되는 약물과 용량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
6. 기관내삽관 시행 및 확인신경근 차단제 투여 1-2분 후 삽관을 시행하며, 삽입 깊이,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해 양측 폐 청진, ETCO2 모니터링, 흉부 X-ray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
7. 기관내삽관 간호 기록기관내삽관 과정에서 측정한 활력징후, 산소포화도, 약물 투여 내역, 시행 경과 등을 상세히 기록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
1. 기관내삽관 간호기관내삽관 간호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기관내삽관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필요한 간호 중재를 신속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내삽관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안위와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전문적이고 세심한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기관내삽관 간호는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는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
2. endotracheal tube 종류endotracheal tube는 기관내삽관 시 사용되는 중요한 의료기기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endotracheal tube가 개발되어 왔는데, 이는 환자의 특성과 임상 상황에 따라 적절한 tube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cuffed tube, uncuffed tube, reinforced tube, RAE tube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tube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환자의 상태와 기관내삽관 목적에 맞는 적절한 tube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tube의 삽입, 고정, 관리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I-gel (아이젤)I-gel은 기도 확보를 위한 대안적 기구로, 기관내삽관이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I-gel은 기관내삽관에 비해 삽입이 쉽고 빠르며, 기도 확보와 환기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cuff가 없어 기관 손상의 위험이 낮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I-gel은 응급 상황이나 어려운 기관내삽관 상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I-gel의 사용 원리와 삽입 방법, 관리 방법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I-gel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I-gel은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
4. 전산소화(pre-oxygenation)전산소화(pre-oxygenation)는 기관내삽관 전 환자의 산소 포화도를 높여 저산소증을 예방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전산소화를 통해 환자의 혈액 내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기관내삽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산소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전산소화 과정에서 환자의 산소 포화도, 호흡 양상,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간호 중재를 신속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전산소화 방법과 시간, 산소 농도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전산소화는 기관내삽관 과정의 안전성과 성공률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간호사의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
5. 진정 유도 및 신경근 차단기관내삽관 시 진정 유도와 신경근 차단은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약물 투여량과 시기를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진정 유도와 신경근 차단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기관내삽관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전문성은 진정 유도와 신경근 차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는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6. 기관내삽관 시행 및 확인기관내삽관 시행과 확인 과정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숙련된 기술과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간호 중재를 신속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내삽관 성공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내삽관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간호사의 전문성은 기관내삽관 시행과 확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
7. 기관내삽관 간호 기록기관내삽관 간호 기록은 환자 관리와 치료 과정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기관내삽관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사항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와 간호 중재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치료 계획 수립과 의사소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록은 법적 증거로서의 역할도 하므로, 간호사는 기록의 정확성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기관내삽관 간호 기록은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의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기간내삽관 간호, intubation 간호, 인투베이션 간호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7
-
intubation, 기관내관, 기관내삽관 방법, 절차, 간호 5페이지
Intubation기관내삽관준비물 및 절차(의사 보조)기관내삽관 간호Intubation (기관내삽관)1. 정의Intubation은 인공기도(artificial airway) 중 하나의 형태로 의사에 의해 실시 된다.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삽입되고, 성대 하부의 기관 내로 삽입하는 관으로 후두경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 할 수 있어 주로 응급 시에 사용한다. 관은 후두와 성대를 지나기 때문에 대상자는 말을 할 수 없게 된다.2. 준비물? laryngoscope(후두경)? endotracheal tube(기관내관)각종 Fr.? ...2021.03.31· 5페이지 -
Intubation ,Vnetilator (기관내삽관 방법, 준비물/ 인공호흡기 용어정리, 모드, 적응증, 간호중재) 6페이지
Intubation(준비물, 방법)&Ventilator(용어, 모드)ICUIntubation목적기도개방성 유지, 기도흡인 예방, 산소공급적응증심정지, 호흡정지, 급성호흡부전, 쇼크, 의식장애 등필요물품O2, O2 line, air way, ambu-bag, mask, E-tube, laryngoscope handle, blade, stylet, 10cc syringe, Suction catheter, suction line, glove, 멸균생리식염수 1L, 청진기, 신체보호대, 테이프, 진정제, 근 이완제 등 (Vnetiltor ...2020.06.22· 6페이지 -
[퀄리티 보장] 성인간호학 실습 A+ 받은 중환자실 사전학습 30p - 주로 쓰이는 진단 검사, 기구, 환자 분류 등 30페이지
성인간호학 사전학습 보고서▣ 중환자와 관련된 시술 및 기구와 감시장치Ⅰ. Endotracheal Intubation = e-tube기도 확보를 위해 기관 내에 관을 삽입하는 것으로 외상, 이물질, 중추신경 질환 등에 의한 호흡장애나 기도 폐색, 분비물의 저류 및 호흡기능 저하 등으로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 등에 사용한다. 경구, 경비, 경기관의 3가지 삽관경로가 있는데, 각각 장점과 결점이 있어 목적에 따라 알맞은 방법을 택한다.* 기관 내 튜브는 35~37cm의 유연한 튜브이며, 튜브의 먼 쪽 5~10ml 팽창 가능한 커프가 있고...2022.07.03· 30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_중환자실 사전학습 31페이지
사전학습-중환자실-I.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11. 상부기도(Upper respiratory tract)-코, 부비동, 인두, 후두12. 하부기도(Lower respiratory tract)-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허파(폐)23. 호흡보조근(Accessory muscles of respiration)24. 가슴막강내압(Intrapleural pressure)35. 허파순환(Pulmonary circulation)36. 가스교환(Gas exchange)37. 환기(Ventilation)4II.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61. 구조62. ...2023.02.19· 31페이지 -
Intubation 스터디/ 인투베이션 자료정리/ 기관내삽관 정의,절차,준비물품,관리간호,적응증 등 4페이지
Intubation (기관내삽관)스터디 보고서교과목명담당교수학번이름제출일● 정의기관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 기도를 확실히 유지하여 환기와 산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짐. 기도를 통한 흡인, 약물투여가 가능.● 적응증: 기도유지 또는 기도보호가 되지 않을 경우, 환기 또는 산소화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시행ex) 전신마취, 심정지, 호흡 부전, 심한 상부 기도 폐세, 중추신경억제, 두경부 손상,무호흡/저...2020.01.2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