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운동학(지레 유형별 설명과 지레 이득 및 인체에 대하여)
본 내용은
"
임상운동학(지레 유형별 설명과 지레 이득 및 인체에 대하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6
문서 내 토픽
-
1. 지레의 원리와 종류지레란 고정되어 있는 받침점, 실제 힘을 작용하는 힘점, 물체에 힘이 작용되는 작용점으로 구정됨. 받침점을 기준으로 하여, 받침점과 힘점 사이의 거리와 받침점과 작용점 사이 거리의 관계에 따라 더 큰 힘을 내거나 물체를 멀리 움직일 수 있다. 지레의 원리는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했으며, 힘점에 걸린 모멘트와 작용점에 걸린 모멘트가 서로 같을 때 평형을 이룬다. 힘점, 받침점, 작용점의 위치에 따라 1종 지레, 2종 지레, 3종 지레로 구분된다.
-
2. 근골격계에서의 지레근골격계에서 지레의 유형을 살펴보면, 제 1형 지레는 힘의 팔과 저항팔의 상대적 길이에 따라 힘이나 거리를 얻는다. 제 2형 지레는 저항 적용 지점이 힘과 축 사이에 위치하므로 항상 저항팔이 힘팔보다 짧아 힘의 이득을 제공한다. 제 3형 지레는 힘 작용점이 저항점과 축 사이에 위치하며, 저항팔이 항상 힘팔보다 길어 역학적 이득이 저항팔에 있다.
-
3. 지레 이득지레의 역학적 이득(MA)은 힘팔의 길이와 저항팔의 길이 사이에서 형성되는 비율과 관련이 있다. 힘팔과 저항팔의 길이가 같은 지레에서의 비율은 1이며, 저항팔 보다 힘팔이 길면 비율은 1보다 크고, 힘팔 보다 저항팔이 길면 지레의 비율은 1보다 작다. 대부분의 근육뼈대계통의 근육들은 MA가 1보다 적은 제 3형 지레의 형태로 기능하고 있어, 외적인 부하를 이겨내기 위해 외적인 부하보다 몇 배나 더 큰 힘을 생산해야 한다.
-
1. 지레의 원리와 종류지레의 원리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물체를 움직이게 하는 기계적 원리입니다. 지레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첫째, 힘점, 받침점, 작용점이 일직선상에 있는 1종 지레입니다. 둘째, 힘점과 작용점이 받침점 사이에 있는 2종 지레입니다. 셋째, 힘점과 받침점이 작용점 사이에 있는 3종 지레입니다. 이러한 지레의 종류에 따라 힘의 방향과 크기가 달라지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계와 도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레의 원리와 종류를 이해하면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쉽게 들어 올리거나 움직일 수 있습니다.
-
2. 근골격계에서의 지레우리 몸의 근골격계에서도 지레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관절은 2종 지레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힘점은 팔뚝 근육, 받침점은 팔꿈치 관절, 작용점은 손목입니다. 이를 통해 팔뚝 근육이 수축하면 손목을 쉽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무릎 관절은 3종 지레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허벅지 근육의 수축으로 다리를 쉽게 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몸의 관절 구조는 지레의 원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3. 지레 이득지레를 사용하면 힘을 증폭시킬 수 있는데, 이를 지레 이득이라고 합니다. 지레 이득은 받침점과 작용점 사이의 거리를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레 이득이 크면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망치는 3종 지레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손잡이 부분이 받침점, 망치 머리 부분이 작용점입니다. 이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큰 힘을 가해 못을 박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레 이득을 활용하면 다양한 도구와 기계를 만들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