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M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STM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6
문서 내 토픽
-
1. STM 실험이 실험에서는 STM을 이용하여 Graphite의 원자 간 간격을 측정하였다. Nano surf 프로그램을 통해 시료를 스캔하고 WSxM 프로그램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이미지 프로그램을 통해 대비를 올리고 클리핑 작업을 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얻었다. AFM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0.145nm의 격자상수 실험값을 얻었고, 이는 Graphite 격자상수의 이론값인 0.1415nm와 2%의 상대오차를 보이는 매우 정확한 값이다.
-
2. Graphite의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관측된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를 분석한 결과, Real lattice의 경우 빨간 점들을 이은 도형이 마름모꼴이며 원자(basis)가 이루는 도형이 육각형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iprocal lattice의 이론적인 도형과 관측된 이미지의 중앙이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관측된 이미지가 이론값과 거의 유사한 모습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 오차 원인실험값과 이론값의 2%의 상대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샘플 이미지의 선명도 부족과 표면의 미세한 이물질 존재를 들 수 있다.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처음 스캔 시 평평하고 뚜렷한 부분을 찾아 확대하고 좌측 parameter를 조절해야 한다. 또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적당한 힘으로 스카치테이프를 붙여야 한다.
-
1. STM 실험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실험은 나노 스케일에서 물질의 표면 구조와 전자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물질의 원자 단위 구조와 전자 분포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M 실험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원자 단위의 해상도로 물질의 표면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둘째, 전자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물질의 전자 상태를 직접 측정할 수 있습니다. 셋째, 다양한 환경(초고진공, 저온, 고온 등)에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STM 실험은 나노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TM 실험에는 여러 가지 실험적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탐침과 시료 사이의 거리 제어, 진동 및 열 영향 제어, 시료 준비 등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따라서 STM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2. Graphite의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Graphite는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 구조로 배열된 2차원 물질입니다. Graphite의 결정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Real lattice는 실제 공간에서 원자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graphite의 경우 육각형 구조를 가집니다. 이 구조는 탄소 원자들이 sp2 결합을 통해 평면적으로 배열된 것을 보여줍니다. 한편 Reciprocal lattice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 얻어지는 역격자 공간에서의 배열을 나타냅니다. Graphite의 Reciprocal lattice는 Real lattice와 유사한 육각형 구조를 가지지만, 그 크기와 방향이 다릅니다.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ciprocal lattice의 격자 벡터 길이는 Real lattice의 격자 벡터 길이의 역수에 비례합니다. 또한 Reciprocal lattice는 Real lattice에서의 회절 패턴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graphite의 결정 구조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Real lattice와 Reciprocal lattice 모두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graphite의 구조적, 전자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3. 오차 원인실험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오차의 원인은 다양하며,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차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측정 장비의 한계: 측정 장비의 분해능, 정밀도, 정확도 등의 한계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환경적 요인: 온도, 습도, 진동, 전자기장 등의 외부 환경 요인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실험 절차의 오류: 실험 과정에서의 부주의, 실험 기술의 미숙, 실험 조건의 불안정 등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시료의 불균일성: 시료의 불균일한 특성, 불순물, 결함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데이터 처리의 오류: 데이터 수집, 분석, 해석 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 원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험 장비의 정기적인 점검 및 교정, 실험 환경의 엄격한 관리, 실험 절차의 표준화, 시료의 균일성 확보, 데이터 처리 과정의 검증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반복 실험을 통해 오차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험 결과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분석화학 실험 STM 5페이지
물리분석실험 결과 보고서STM experiment1. 서론고체 표면에 분자가 특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한 단분자막을 self-assembled monolayer(SAM)이라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길이의 aliphatic chain을 갖는 thiol 분자를 Au(111)에 흡착시켜 SAM을 만든 후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STM을 분광학적 도구로 사용하여 표면의 density of states와 일함수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SAM의 형성 과정과 ST...2021.12.14· 5페이지 -
서강대학교 23년도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7주차 Lab07 결과레포트 (A+자료) 36페이지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7주차 실험 보고서목적- 인터럽트의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stack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한다.- vector table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인터럽트의 처리과정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터들의 종류 및 역할을 이해한다.이론2-1. Interrupt types % Vector table인터럽트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외부에서 스위치가 눌리거나 통신에서 신호가 수신되는 등 예기치 못한 상황, 사건을 의미한다. 인터럽트가 발생한다면, 프로세서는 명령어 수행을 마친 후, 해당 인터럽...2024.03.24· 36페이지 -
원자현미경 STM과 AFM의 이론 및 AFM 측정 실험보고서 12페이지
실험제목AFM 실습 보고서(Atomic Force Microscope)과목명나노 바이오 시스템 공학실험 일자2015년 11월 19일조이름학번담당 교수AFM 실습 보고서Ⅰ. 서론“나노기술(nano technology)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은 고작 몇 십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나노기술을 연구하는 과학자, 엔지니어 연구원들은 그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진보를 이루었고, 실제로 원자만한 크기의 물질을 만들어내기도 했다.”-테오니 파파스, “수학 스펙트럼(수학 오디세이 6)”, 경문사, 2004.01.15수십 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내시경...2020.12.16· 12페이지 -
물리화학 실험 라만 스펙트로스코피(Raman spectroscopy) 6페이지
물리분석실험 결과 보고서Raman Spectroscopy1. 서론본 실험에서는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1,2-dichloroethane (DCE)의 두가지 이형태체의 온도에 따른 비율과 에너지 차이를 예측하였다. 그 과정에서 vibrational spectroscopy 중 하나인 Raman spectroscopy의 원리를 이해하고 분석 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보고된 문헌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2. 배경 이론(1) Raman spectroscopy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면 물질에 대한 여...2021.12.14· 6페이지 -
서강대학교 마이크로프로세서 6주차 실험 26페이지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6주차 결과 보고서1. 실험 제목Subroutines and Stacks2. 실험 목적● Subroutine의 호출 및 복귀와 관련된 명령어들과 그들의 동작에 대해 이해한다.● Stack의 활용방법, 연관 명령어, subroutine과의 연관성 등을 이해한다.● Subroutine으로의 변수 전달 방식에 대해 이해한다.● 개별적인 파일에 작성된 subroutine의 assemble/compile 및 link를 위한 directives의 역할을 이해한다.3. 실험 이론1. Subroutinesubroutine은 ...2021.06.30·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