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암(rectal cancer) 케이스스터디 A+자료(문헌고찰+간호진단+간호과정 2개씩)
문서 내 토픽
-
1. 대장암암은 우리나라 국민 사망원인 1위지만, 현대의학의 발전과 함께 조기 진단과 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암 발생률 및 5년 상대 생존율이 동시에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9년 국가암정보센터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암 중 발생률 1, 2위를 차지하는 위암과 대장암을 비롯하여 10대 주요 암에 간암, 췌장암, 담낭 및 기타 담도암이 포함되어 소화기계 암이 전체 암의 37.4%를 차지하였다. 최근 5년(2013~2017) 생존율은 위암 76.5%, 대장암 75.0%이며, 간암의 경우 제1기 암 정복 10개년 계획 시행 이전보다 23.9%나 상승하였다. 대장암은 최근 우리나라의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대장암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2. 대장의 구조대장은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길이는 약 150cm이며 막창자(맹장, cecum), 잘룩창자(결장, colon), 곧창자(직장, rectum)로 나뉜다. 돌창자 끝은 돌막창자판막(회맹판, ileocecal valve)에 의해 막차자로 연결되며, 막창자꼬리(충수돌기, appendix)는 막창자 중앙부에서 돌막창자접합부 아래로 약 7~8cm 가량 돌출되어 있다. 잘룩창자는 오름결장(상행결장, ascending colon), 가로결장(횡행결장, transverse colon), 내림결장(하행결장, descending colon), 구불결장(S상결장, sigmoid colon)으로 나뉘며 곧창자(직장으로 이어진다. 곧창자는 길이가 약 20cm로 엉치뼈(천골)와 꼬리뼈(미골) 앞으로도 하강하여 항문에 이른다.
-
1. 대장암대장암은 대장 내벽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발생하는 암입니다. 대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여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대장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배변 습관 변화, 혈변, 복통, 체중 감소 등이 있습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대장암의 예후는 좋은 편이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대장암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대장의 구조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미터 정도입니다. 대장은 크게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결장, 직장으로 구성됩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 흡수와 고형 배설물 저장 및 배출입니다. 대장 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대장이 연동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대장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대장 관련 질환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직장암(rectal cancer) 케이스스터디 A+자료(문헌고찰+간호진단+간호과정 2개씩)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