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 (아동간호학실습)
본 내용은
"
[A+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 (아동간호학실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1
문서 내 토픽
-
1.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은 선천적으로 십이지장의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서 위장 속의 내용물이 아래로 내려 가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아기는 담즙이 섞인 초록색 구토를 생 후 수 시간 안에 보이게 됩니다. 발생빈도는 약 6,000~10,000명 당 1명으로 다운증후군을 동반할 확률이 약 30%이며, 다른 선천성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해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출생 첫 날 24시간 이내에 구토가 나타나는데 80% 이상이 ampulla of Vater보다 하방에서 폐쇄가 나타나 담즙성 구토를 합니다. 진단은 분만력 및 증상, 단순 복부 X선 촬영, 대조 연구, Faber test, 태아 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치료는 수술적 치료로 십이지장-십이지장 문합술, 십이지장 공장 문합술, gastrojejunostomy, gastrostomy 등이 시행됩니다.
-
2.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간호진단으로는 '비효과적인 수유양상과 관련된 체액불균형(체액부족)', '잦은 배설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가 도출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목표와 간호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주요 간호중재로는 체중 및 활력징후 모니터링, I&O 확인, 전해질 수치 모니터링, 적절한 수유 방법 제공, 피부 청결 및 발적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선천성 심질환, 감염 위험성 등 추가적인 대상자 문제에 대한 간호교육도 제공하였습니다.
-
1.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은 출생 시 십이지장이 완전히 막혀 있는 희귀한 선천성 기형입니다. 이로 인해 신생아는 구토, 복부 팽만, 황달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 질환은 조기에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후에도 장기적인 관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영양 상태 및 성장 발달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 상담과 심리적 지지도 중요한데, 이를 통해 환아와 가족이 질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적절한 진단과 치료,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대부분의 환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
2.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간호진단과 간호과정은 간호 실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간호과정이 진행됩니다. 간호과정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대상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호과정의 기록은 간호의 질 관리와 근거 기반 실무 발전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은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간호 실무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