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법총론 형법 사례형(위법성 조각사유 및 책임 조각사유 작성)
본 내용은
"
형법총론 형법 사례형(위법성 조각사유 및 책임 조각사유 작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30
문서 내 토픽
-
1. 동호의 중상해죄 정범 성립 여부동호는 유봉이 약으로 송화에게 해를 가하려 한다는 의중을 간파했고, 상해의 고의를 가지고 약을 먹게 하였으므로 중상해죄의 죄책을 진다.
-
2. 유봉의 중상해죄 간접정범 성립 여부유봉은 동호를 이용하여 송화에 대한 범죄를 실행하였으므로 중상해죄 간접정범의 미수로 처벌한다.
-
3. 이웃 사내의 주거침입죄 및 폭행죄 성립 여부이웃 사내의 위법성 검토 시 정당방위의 객관적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위법성은 조각되지 않으므로 책임에서 법률의 착오 중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의 착오의 처리에 따라 과실책임만을 인정한다. 그러나 주거침입죄 및 폭행죄의 과실범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범죄가 불성립된다.
-
1. 동호의 중상해죄 정범 성립 여부동호의 행위가 중상해죄의 정범으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피해자에게 중상해를 가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피해자의 상해 정도와 동호의 행위 사이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입증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동호의 고의성도 입증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거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유봉의 중상해죄 간접정범 성립 여부유봉이 중상해죄의 간접정범으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유봉이 타인을 이용하여 중상해 결과를 발생시켰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유봉이 타인에게 중상해 행위를 지시하거나 교사하였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유봉과 실행행위자 사이의 인과관계도 명확히 입증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거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이웃 사내의 주거침입죄 및 폭행죄 성립 여부이웃 사내의 행위가 주거침입죄 및 폭행죄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주거에 무단으로 침입하였다는 사실과 피해자에게 폭행을 가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이웃 사내의 행위가 정당방위나 긴급피난 등의 정당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도 입증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거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간통죄 8페이지
Ⅰ. 간통죄의 의의간통죄란 배우자 있는 자가 간통하거나 그와 상간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고(간통자+상간자),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여기에서 간통은 배우자 있는 자가 배우자 아닌 자와 혼외의 합의의 정교관계(情交關係))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죄는 신분범)이고, 상간한 자도 동시에 처벌하기 때문에 대향범)인 동시에 필요적 공범)에 속한다. 따라서 총론의 공범에 관한 규정(제 30~33조))이 적용될 여지는 없다.?? 다만, 이때 이러한 행위는 배우자의 부정한 행위로서 민법 제840조 제1호)의 이혼사유는 될 수 있...2011.10.05· 8페이지 -
형법판례 요점정리 98페이지
【형법 판례】(총론)죄형법정주의에 반하는 경우(위반되는 것)1.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제2조 제1항의 위임에 따라 동법 시행령에서 총포의 범위 를 구체적으로 정하면서도 부품까지 총포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한 경우 (위임입법의 한계)2. 구 근로기준법 제30조 단서에서 임금?퇴직금 청산기일의 연장합의의 한도에 관하여 아무런 제한이 없는데도 시행령에서 3개월로 기일 제한한 것 (위임입법의 한계)3.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의 자수를 범행발각 전에 자수한 경우로 한정해석(유추해석금지위반)4. 군형법상 군용물을 편취당한 것을 분실로...2010.07.16· 98페이지 -
[공범론] 형법-공범과 신분에 대해서 6페이지
Ⅰ. 問題의 所在共犯과 身分의 문제는 身分이 犯罪의 成立이나 刑罰의 加減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신분 있는 자와 신분 없는 자가 共犯關係에 있을 때 이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를 다루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우리 刑法 第33條에서는 [身分關係로 成立되는 犯罪에 가공한 行爲는 身分關係가 없는 者에게도 前3條(공동정범, 교사범, 종범)의 규정을 適用한다. 다만 身分關係로 형의 輕重이 있을 때에는 중한형으로 處罰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형법은 공범의 從屬性을 인정하고 있지만 종속의 정도는 制限的 從屬形式을 취하고...2003.12.17·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