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 교내실습 지침서 작성 (건강문제 및 환아놀이)
본 내용은
"
아동간호 교내실습 지침서 작성 (건강문제 및 환아놀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8
문서 내 토픽
-
1. 탈수환아의 설사로 인한 탈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4시간마다 탈수 징후를 사정합니다. 지사제 투여와 경구 및 비경구 수분 섭취를 격려하여 설사 횟수를 줄이고 탈수를 예방합니다. 단기 목표는 2일 이내에 설사 횟수를 1회 이하로 줄이고, 장기 목표는 퇴원 시 지사제 없이도 설사가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
2. 고체온환아의 고체온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며 해열제를 투여합니다. 보호자에게 체온을 낮출 수 있는 방법과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 증후,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합니다. 단기 목표는 4시간 이내에 체온을 38.0°C 이하로 낮추고, 장기 목표는 4일 이내에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
3. 환아 놀이입원 환아의 심심함을 해소하고 웃음을 유도하기 위해 '표정 따라하기' 놀이를 진행합니다. 표정 그림카드를 준비하고 환아가 그 표정을 따라 해보도록 격려합니다. 이를 통해 환아가 웃으며 즐겁게 참여하고, 다른 게임을 하자고 요청하는 등 활기찬 모습을 보였습니다.
-
1. 탈수탈수는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이는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증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체 기능 저하, 장기 손상,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탈수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전해질 보충, 증상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위험군인 영유아, 노인, 만성질환자 등에 대한 주기적인 건강 관리와 교육이 중요합니다. 탈수는 심각한 건강 문제이지만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
2. 고체온고체온은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감염, 약물 부작용,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고체온 관리를 위해서는 원인 질환 치료, 해열제 투여, 수분 섭취, 체온 모니터링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위험군인 영유아, 노인, 만성질환자 등에 대한 주기적인 건강 관리와 교육이 중요합니다. 고체온은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3. 환아 놀이환아 놀이는 입원 중인 아동의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이를 통해 아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놀이 활동은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춰 설계되어야 하며, 의료진과 보호자의 협력 하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환아 놀이는 아동의 회복 과정을 돕고, 가족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 내 환아 놀이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