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점수A+]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자회로실습 CH3. 브리지정류와 평활회로 실험보고서
본 내용은
"
[보고서점수A+]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자회로실습 CH3. 브리지정류와 평활회로 실험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8
문서 내 토픽
  • 1. 브리지정류 회로
    브리지정류 회로는 전파정류 회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회로이다. 브리지정류는 교류전압이 (+)인 구간에서 도통되는 다이오드와 (-)인 구간에서 도통되는 다이오드를 함께 연결하여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전압이 걸리고 전류가 흐르게 하는 회로이다. 브리지 다이오드 전파정류 출력전압의 평균값과 주파수는 변압기의 중간탭을 이용한 전파 정류회로의 평균값, 주파수와 같으며, 입력전압으로부터 2VDO만큼 전압 강하가 된 출력이 생성된다.
  • 2. 평활 회로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파형을 푸리에 변환시켜보면 많은 교류성분의 값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해 커페시터와 저항을 병렬로 접속시키는데, 이와 같이 교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직류로 하기 위한 회로를 평활회로라고 한다. 전해 커패시터 C를 출력 부하저항에 병렬로 추가함으로써 출력이 피크값을 따라가고, 리플이 줄어들게 된다.
  • 3. 리플전압과 시정수
    리플전압은 시정수에 따라 달라지며, 시정수 τ= RC이고, 시정수가 크게되면 감소(방전)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즉, 리플 전압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정수를 크게 해야하고, 저항 또는 커패시터의 용량을 크게하면 되지만 부하저항 R은 사용목적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C를 크게 하는 방법이 가장 유효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브리지정류 회로
    브리지정류 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전압의 양극과 음극을 모두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합니다. 브리지정류 회로는 단상 정류 회로에 비해 리플 전압이 작고, 출력 전압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정류 효율이 높아 전력 변환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배터리 충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브리지정류 회로의 설계 및 분석은 전자 회로 설계 및 전력 전자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입니다.
  • 2. 평활 회로
    평활 회로는 정류된 직류 전압의 리플 전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는 주로 커패시터와 인덕터로 구성되며, 정류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안정적인 직류 전압을 생성합니다. 평활 회로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는 리플 전압의 크기, 시정수, 커패시터의 용량 등이 있습니다. 적절한 평활 회로의 설계는 전원 공급 장치, 전력 변환 장치, 전자 기기 등에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평활 회로의 분석과 설계는 전자 회로 설계 및 전력 전자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집니다.
  • 3. 리플전압과 시정수
    리플 전압은 정류된 직류 전압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의미하며, 전원 공급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리플 전압은 정류 회로와 평활 회로의 설계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평활 회로의 시정수가 클수록 리플 전압이 감소합니다. 시정수는 RC 회로의 시간 상수로, 커패시터와 저항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시정수가 크면 전압 변동이 완만해지고 리플 전압이 감소하지만, 회로의 응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원 공급 장치 설계 시 리플 전압과 응답 속도 간의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플 전압과 시정수의 이해는 전자 회로 설계 및 전력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지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