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배양검사 간호, blood culture 간호
본 내용은
"
혈액배양검사 간호, blood culture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5
문서 내 토픽
-
1. 혈액 배양(Blood culture)검사혈액 배양(Blood culture)검사의 시행목적은 발열환자 및 감염환자의 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선택을 하기 위함입니다. 준비물품으로는 혈액배양 검체용기, D-set, 23G needle, 30cc syringe, Tourniquet, Plaster, Surgical glove(멸균장갑) 등이 필요합니다. 혈액배양 채혈 간호 시 주의사항으로는 항생제 투여 전 첫 번째 검사 시행, 혐기성 배양병과 호기성 배양병의 순서 주입, 채혈 부위 선택, 채혈량 등이 있습니다.
-
2. 혈액배양 bottle성인용 혈액배양 bottle은 2bottle(혐기성, 호기성)=1set으로 구성되며, 호기성 배지는 trypticase soy bean(TSB) broth, 혐기성 배지는 thioglycollate(THIO) broth입니다. 소아용 혈액배양 bottle은 1개의 호기성 배양병으로 구성됩니다. 혈액 채취량은 성인 8~10mL, 소아 1~3mL가 권장됩니다.
-
3. 혈액배양 채혈 방법혈액배양 채혈 시 무균술을 준수하며, 지혈대 적용, 피부 소독, 혈관 확보, 혈액 채취, 배양병 주입 순서로 진행합니다. 배양병에 바코드 라벨 부착 시 bottle 자체 바코드와 mL 표시를 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1. 혈액 배양(Blood culture)검사혈액 배양 검사는 혈액 내 세균 감염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감염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를 확인하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혈액 배양 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민감도가 낮은 단점이 있지만, 여전히 감염 진단의 표준 검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신속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혈액 배양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빠른 감염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혈액배양 bottle혈액배양 bottle은 혈액 배양 검사에 사용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이 bottle에는 배양액이 들어있어 채취한 혈액 시료를 넣으면 병원체가 증식할 수 있습니다. 혈액배양 bottle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검사 결과의 정확도와 신속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동화된 혈액배양 시스템이 개발되어 검사 과정을 효율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체 동정을 위한 분자진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혈액배양 bottle의 역할과 활용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혈액배양 bottle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
3. 혈액배양 채혈 방법혈액배양 검사를 위한 채혈 방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채혈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 오염이나 오결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혈액배양 채혈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멸균 기구 사용, 피부 소독, 혈액 채취 순서, 채혈량 등이 있습니다. 또한 채혈 전후 손 위생 관리도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자동화된 채혈 시스템이 개발되어 오염 위험을 줄이고 있습니다. 혈액배양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infective endocarditis(acute, subacute) A+ 맞은 급성 심내막염 수술간호 사례간호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1. infective endocarditis 감염성 심내막염은 주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데, 포도알균이나 사슬알균이 주요 원인균이다. 기존에 특정한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판막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비뇨기계 수술이나 치과 치료(특히 발치)를 받는 과정에서 혈액 내로 들어온 세균들이 혈액을 타고 흐르다가, 심장 내 구조물, 특히 판막에 정착...2025.01.13 · 의학/약학
-
신생아일과성빈호흡 A+ 케이스 자료(비효과적호흡양상, 불안(산모대상))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출생 직후 나타나는 일시적인 빈호흡 증상으로,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출생 시 폐액의 제거 및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빈호흡, 경증의 흉골함몰, 경한 청색증 등이며, 대부분 24-72시간 내에 호전...2025.05.01 · 의학/약학
-
간호학과 병동 반영일지 blood cultur(혈액배양검사), 정맥용 수액요법(교질용액, 정질용액) 15페이지
병동 간호 반영일지과목담당 교수님학과간호학과분반학번이름제출일일시제목(주제가 되는 경험, 상황)교육 및 학습한 내용, 반영적 사고(이론, 정상기준, 간호의 표준 등에 비추어 경험한 상황을 돌아 봄)느낀 점 및배운 점2020.10.22. 목요일bloodculture(혈액 배양검사)1. 혈액 배양검사혈액배양은 혈액에서 세균과 진균을 검출하고 동정하기 위해 시행된다. 혈관 내 감염은 세균에 의해 가장 흔히 이루어지고(세균혈증), 또한 효모나 다른 진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사람의 면역계가 요로감염에서 방광 또는...2021.03.03· 15페이지 -
[A+ 간호 반영일지] Blood Culture 반영일지 3페이지
반 영 일 지Blood Culture일시제목(주제가 되는 경험, 상황)Clinical Experience(교육): 객관적으로 그대로 기술Reflective review(이론, 정상기준, 간호의 표준 등에 비추어 경험한 상황을 돌아 봄)느낀 점,배운 점2020.10.22Blood Culture-검사물 채취 및 취급 방법① 채혈 후 시험관 벽에 대고 분주(용혈 방지)② 항응고제 검체는 충분히 혼합(8-10회)③ 검사에 따라 사전 예약이 필요함④ 검체 용기 확인 후 채혈 및 분주⑤ 검체 용기의 뚜껑 막음을 꼭 확인한 후 의뢰채혈 후 즉시...2022.04.04· 3페이지 -
Blood culture 혈액배양검사 1페이지
Blood culture:흔히들 혈액배양검사라고 말한다.균의 원인균을 진단하기 위해 혈액에서 세균이나 진균을 햅양하는 검사이다.소독한 부위를 맨손으로 만지면 안되고, 무균조작을 통해야한다.검사후 채혈부위 통증 및 출혈이 있을 수 있다.색상: 주황or빨강(혐기성 세균), 녹색,파랑(호기성 세균)검체량:최소 5ml 쌍으로 검사하는 경우가 많음1. 손소독후 멸균장갑을 착용함2. 채혈할 환자 및 채혈부위 확인한다.3. 에탄올 스왑으로 채혈부위에 동심원을 그리며 5cm 이상 닦음4. 에탄올이 마르고나면 10% 포비돈-아이오딘 용액으로 한번 ...2021.10.03· 1페이지 -
[성인간호] 혈액 진단검사 및 간호 13페이지
혈액 진단검사 및 간호학과/학년/반학번이름제출일1. 혈액 검사물 관리- 피부 및 장비의 오염을 예방하여 잘못된 검사결과를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최대한 빨리 감염균을 찾아내기 위해 검체를 검사실로 즉시 이송한다.-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혈액배양검사를 위한 검체를 채취한다.▶ 혈액배양검사에서의 주의사항· 채혈 전- 배양 병의 사용 기한 및 용기 파손 여부를 확인한다.- 정확한 대상자 확인 (5 rights)· 채혈 시- 잡균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무균 조작을 한다.- 정맥 유치 카테터, 동맥 유...2023.05.15· 13페이지 -
다제내성균 사전학습보고서 6페이지
2023학년도 2학기 시뮬레이션 실습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사전학습보고서132과 목제 출 일담당교수학번이름종류진단기준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S.aureus균이 분리된 자1. Oxacillin의 최소 억제농도가 4um/ml 이상2. 원판확산법에서 억제환이 10mm 이하2.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Enterococcus가 분리된 자1. Vancomycin의 최소억제농도가 32ug/mm 이상2. 원판 확산법에서 억제환이 14mm 이하3.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S.aureus가 분...2023.10.14·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