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일반생물학및실험] spreading, streaking 레포트
본 내용은
"
A+[일반생물학및실험] spreading, streaking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5
문서 내 토픽
-
1. SpreadingLB plate에 실험한 날짜, 조 이름, 접종 균주의 이름, 희석 정도를 labelling한다. pipette을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액 80ul을 따서 plate에 접종한다. 멸균된 삼각봉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골고루 펴서 도말한다. 퍽퍽해지는 게 느껴질 때까지 골고루 펴준다. 도말이 끝난 배지는 뒤집어서 37℃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colony를 관찰한다.
-
2. Streakingsingle colony를 loop으로 살짝 떠서 배지의 한쪽을 지그재그로 도말한 후 120° 돌린다. loop을 멸균한 다음 앞서 도말한 부분의 끝부터 다시 지그재그로 도말한다. 위의 과정을 두 번 반복한다. 도말이 끝난 후 뒤집어서 incubator에서 37℃로 overnight 한다.
-
3. Streaking vs SpreadingStreaking 도말법은 특정 colony 하나만 따서 배양시킬 때 많이 쓰이고, Spreading 도말법은 배양 후 생성된 colony의 수를 정확히 계수하기 위해 많이 쓰인다. Streaking 도말법은 고농도의 혼합 샘플이어도 3, 4번째 획 선에서는 single colony를 획득할 수 있지만, Spreading 도말법은 고농도의 혼합 샘플이라면 적정 농도로 희석이 될 때까지 계속 희석시켜줘야 한다.
-
4.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차이액체배지는 동물·식물·미생물 세포를 생육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함유한 배양액이며, 고체배지는 액체 배지를 한천 또는 젤라틴으로 굳힌 것이다. 고체배지에는 평판배지, 분리 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 등이 있다.
-
5. 멸균법물리적 소독 멸균법에는 여과법, 소각법, 자비소독법, 자외선 소독, 건열법, 고압증기 멸균법 등이 있다. 각각의 방법은 멸균 대상, 효과, 장단점이 다르다.
-
1. SpreadingSpreading is a common technique used in microbiology to distribute microorganisms or other substances evenly on a solid growth medium, such as an agar plate. This technique is crucial for isolating and cultivating pure cultures of microbes, as well as for performing various microbiological experiments and analyses. The process of spreading involves using a sterile inoculating loop or spreader to gently distribute a small volume of a liquid sample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other substances across the surface of the agar plate in a systematic manner. This ensures that individual colonies or cells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studied. Proper spreading technique is essential for obtaining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in microbiology research and diagnostics.
-
2. StreakingStreaking is a microbiological technique used to isolate individual colonies of microorganisms from a mixed culture. This method involves using a sterile inoculating loop to transfer a small amount of a mixed culture onto the surface of a solid growth medium, such as an agar plate, and then systematically spreading the inoculum across the plate in a series of parallel streaks. As the loop is dragged across the plat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deposited decreases, allowing for the formation of isolated colonies that can be easily picked and further studied. Streaking is a crucial step in the process of obtaining pure cultures of microorganisms, which is essential for various microbiological applications, including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further experimentation.
-
3. Streaking vs SpreadingStreaking and spreading are both important techniques in microbiology, but they serve different purposes. Streaking is used to isolate individual colonies of microorganisms from a mixed culture, while spreading is used to distribute microorganisms or other substances evenly across the surface of a solid growth medium. Streaking involves creating a series of parallel streaks on an agar plate, with the goal of obtaining well-separated, individual colonies. In contrast, spreading involves using a sterile loop or spreader to gently distribute a liquid sample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other substances across the entire surface of an agar plate. Streaking is typically performed first to isolate pure cultures, and then spreading may be used to further distribute the isolated colonies for various microbiological experiments and analyses. Both techniques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cultivation, isolation, and study of microorganisms in the laboratory.
-
4.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차이액체배지와 고체배지는 미생물 배양에 있어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액체배지는 균일한 영양 공급과 배양 환경을 제공하여 빠른 세포 증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대량 배양이 용이하며, 세포 대사산물 생산 등의 응용이 가능합니다. 반면 고체배지는 개별 세포 분리와 콜로니 관찰이 용이하여 순수 배양주 분리에 유리합니다. 또한 고체배지에서는 세포의 형태적 특성과 생화학적 활성을 관찰할 수 있어 미생물 동정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연구 목적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미생물 분리와 동정에는 고체배지가, 대량 배양과 대사산물 생산에는 액체배지가 효과적일 것입니다.
-
5. 멸균법멸균법은 미생물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멸균은 실험 재료와 환경에서 모든 생물학적 오염원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실험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멸균 방법에는 고압증기멸균, 건열멸균, 화학적 멸균 등이 있습니다. 고압증기멸균은 121°C, 15-20분간 가열하여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이며, 실험 기구와 배지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건열멸균은 160-180°C에서 2-4시간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에 안정한 물질의 멸균에 적합합니다. 화학적 멸균은 에탄올,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멸균 기법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